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자꾸 어른들 말을 끊고 자기 얘기를 하려는 아이는 어떻게 고쳐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부모님의 행동이나 말투, 언어를 잘 배우게 됩니다 함께 생활 하고 있으니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 시 아이의 말을 끝까지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한데 아이가 이야기 하고 있는 도중 아이가잘못 이야기 한다고 판단 되면 아이의 말을 끊고 부모님이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가 배우게 됩니다 보통 부모님들은 내가 경험이 많고 맞는 말을 하니깐 아이의 말을 끊어도 된다고 생각 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우선 아이와 대화 시 아이의 말을 끊지 말고 공감 하면서 끝까지 잘 들어 주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도 자신의 말을 끝까지 들어 준다고 생각되면 상대방 말을 잘 들어 줄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갑자기 말을 더듬기 시작한다면 이런 모습이 자연스러운 걸까요, 아니면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말을 더듬는 습관을 고치지 못하면 서로 소통하는 것도 문제가 되고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고쳐야 합니다맞습니다 흥분하거나 성격이 급해지면 두뇌와 말하는 입이 따로 움직이다 보니 말을 더듬는 현상이 발생하게됩니다정상적인 발달 과정은 아닙니다우선 아이가 마음을 편하게 가지고 하고 아이가 말을 더듬을 때 천천히 말해도 된다고 여유를 가지고아이를 대해 주세요부모님의 표정이 중요 한데 심각한 표정을 짓거나 화가 난 표정을 짓는 다면 아이의 마음도 불편해져말을 더듬을 수 있으니 밝고 여유 있는 목소리로 천천히 말을 해 달라고 이야기 하세요그래도 고쳐지지 않는 다면 전문 상담을 받아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사람이 '이건 범죄여서 하면 안돼' 라고 생각할 수 있는 나이가 몇 살쯤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물론 아이마다 성격이나 타고난 성향이 다르니 똑같이 적용 할 수는 없지만 초등 6학년만 되어야 문제가 된다는 건 알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일반적이고 보통의 아이인 경우 무인 상점에서 물건을 그냥 가지고 나올 수 있는 아이는 없습니다 그냥 가지고 나오는 것이 문제가 된다는 걸 인식 하기 때문이죠 중요한 건 인식을 못하는 초등학교 6학년 생도 있다는 것이 문제 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자꾸 물건을 잃어버리는데, 정리하는 습관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관심도가 떨어지는 물건은 잘 잊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심이 없으니 필요 없다 생각 하기 때문 이죠 좋아 하는 물건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찾아 달라고 난리가 나는 경우도 있어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이 자기 물건을 잘 챙기고 정리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입니다 당연히 부모님이 옆에서 함께 정리 하면서 도와 줘야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자꾸 부모에게 거친 말을 한다면, 어떻게 아이의 언어 습관을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언어는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에서 배우고 습득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가정에서 부모님의 잦은 부부 싸움으로 거친 언어를 듣고 배워 사용 할수 있고 학교 친구에게 배워서 사용 하는 경우도 있어요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욕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고 어떤 뜻이 있는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아이가 욕을 배워 사용 한다면 아이에게 왜 욕을 하면 안되는 지 설명을 해주고 이해 시켜 줘야 합니다 아이들이 가장 많이 보고 배우고 따라하는 존재는 부모님이다 보니 가정에서 항상 고운말을 쓰고 부정적인 언어 보다 긍정적 언어를 사용 한다면 아이들은 고운 말이 머리 속에 많이 있기 때문에 나쁜 말을 잘 받아 들이지 않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동생과 자주 다툰다면 어떻게 중재해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형제나 남매 자매는 함께 자라면서 경쟁자인 관계를 유지 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님의 바램 처럼 드라마에서 나오는 사이 좋은 가족으로 지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형제의 갈등은 한 쪽으로 치우치는 관심과 사랑 때문에 생기는 일 많이 있습니다 공평하게 부모님이 대해 준다고 해도 아이들 입장에서는 차별 받는다 생각 할 수 있습니다 매사에 공평하게 아이들에게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대한다면 갈등이 해소 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만약 아이가 자꾸 부모님에게 반항하고 고집을 피운다면 어떻게해야 아이와의 갈등을 줄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짜증을 내는 걸 보기 싫어 하고 갈등을 없애고 싶다면 아이가 원하는 걸 다 들어 주면 됩니다 하지만 아이가 원하는 것이 어느 정도만 하고 멈출까요 아닙니다 아이의 요구는 끝이 없어 집니다 결국은 문제 생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의 떼를 멈추게 해야 합니다 우선 아이는 원하는 걸 얻기 위해 소리 지르거나 울거나 기본으로 하고 안되면 악을 쓰고 뒤로 넘어 갑니다 대부분 부모님은 여기에서 아이들이 원하는 걸 해주고 넘어 갑니다 그래서 다음에서 아이는 원하는 걸 얻기 위해 또 같은 행동을 반복 합니다 아이가 울거나 떼를 쓴다면 부모님은 " 너가 울거나 소리를 지르면 너가 원하는 걸 엄마가 알 수 없으니 울지 말고 말을 해야 들어 줄 수 있다" 고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호하고 명확하고 분명 하게 확신 있는 말투로 흥분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 하셔야 말을 해야 합니다 반복 적인 교육이 되어 아이가 울지 않고 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와 대화가 되면 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혼자 노는 걸 더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성적인 성격을 타고난 아이들은 앞에 나서는 걸 좋아하지 않고 운동하는 것도 좋아 하지 않습니다 책을 읽거나 종이 접기를 좋아하고 점토로 만드는 걸 좋아 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활동적인 아이들이 옆에 있으면 정신이 없어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어울리지 못하니 사회성이 부족 해질 수는 있으나 매사에 꼼꼼하고 신중한 성격이 있어 큰 사고를 치지 않는 장점도 있습니다 아이가 전문 심리 상담을 받을 만큼 문제가 있지 않으면 아이의 있는 모습 그대로 봐주는 좋을 것 같아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가 문장 이해력을 키우기 위한 놀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문자에 대한 이해가 높아 지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보고 읽어야 합니다 책을 많이 읽다 보면 책을 읽는 속도도 빨라지고 책 내용이 무엇인지 정리도 잘 됩니다 요즘 친구들은 책을 많이 읽지 않아 문제의 지문을 읽고 이해 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당연히 성적이 좋을 수 없습니다 무조건 책을 읽어야 됩니다 책 읽은 연습이 없이는 문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힘이 듭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들과 놀아주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를 하다가 오기 때문에 놀이에 대한 욕망 보다 좀 휴식을 취하고 싶은 아이들이 많이 있어요 내성적이거나 아이들 하고 사이가 좋지 못한 경우 많이 놀지 못하기 때문에 엄마에게 놀아 달라고 할 수 있어요 전자라면 아이가 집에 오면 오늘 하루에 대해 아이가 어떤 일이 있었고 재미있는 건 무엇인지 물어보고 잘한 행동이 있으면 잘했다고 칭찬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