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물건을 잃어버리는데, 정리하는 습관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관심도가 떨어지는 물건은 잘 잊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심이 없으니 필요 없다 생각 하기 때문 이죠 좋아 하는 물건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찾아 달라고 난리가 나는 경우도 있어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이 자기 물건을 잘 챙기고 정리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입니다 당연히 부모님이 옆에서 함께 정리 하면서 도와 줘야 합니다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부모에게 거친 말을 한다면, 어떻게 아이의 언어 습관을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언어는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에서 배우고 습득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가정에서 부모님의 잦은 부부 싸움으로 거친 언어를 듣고 배워 사용 할수 있고 학교 친구에게 배워서 사용 하는 경우도 있어요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욕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고 어떤 뜻이 있는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아이가 욕을 배워 사용 한다면 아이에게 왜 욕을 하면 안되는 지 설명을 해주고 이해 시켜 줘야 합니다 아이들이 가장 많이 보고 배우고 따라하는 존재는 부모님이다 보니 가정에서 항상 고운말을 쓰고 부정적인 언어 보다 긍정적 언어를 사용 한다면 아이들은 고운 말이 머리 속에 많이 있기 때문에 나쁜 말을 잘 받아 들이지 않습니다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아이가 동생과 자주 다툰다면 어떻게 중재해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형제나 남매 자매는 함께 자라면서 경쟁자인 관계를 유지 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님의 바램 처럼 드라마에서 나오는 사이 좋은 가족으로 지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형제의 갈등은 한 쪽으로 치우치는 관심과 사랑 때문에 생기는 일 많이 있습니다 공평하게 부모님이 대해 준다고 해도 아이들 입장에서는 차별 받는다 생각 할 수 있습니다 매사에 공평하게 아이들에게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대한다면 갈등이 해소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만약 아이가 자꾸 부모님에게 반항하고 고집을 피운다면 어떻게해야 아이와의 갈등을 줄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짜증을 내는 걸 보기 싫어 하고 갈등을 없애고 싶다면 아이가 원하는 걸 다 들어 주면 됩니다 하지만 아이가 원하는 것이 어느 정도만 하고 멈출까요 아닙니다 아이의 요구는 끝이 없어 집니다 결국은 문제 생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의 떼를 멈추게 해야 합니다 우선 아이는 원하는 걸 얻기 위해 소리 지르거나 울거나 기본으로 하고 안되면 악을 쓰고 뒤로 넘어 갑니다 대부분 부모님은 여기에서 아이들이 원하는 걸 해주고 넘어 갑니다 그래서 다음에서 아이는 원하는 걸 얻기 위해 또 같은 행동을 반복 합니다 아이가 울거나 떼를 쓴다면 부모님은 " 너가 울거나 소리를 지르면 너가 원하는 걸 엄마가 알 수 없으니 울지 말고 말을 해야 들어 줄 수 있다" 고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호하고 명확하고 분명 하게 확신 있는 말투로 흥분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 하셔야 말을 해야 합니다 반복 적인 교육이 되어 아이가 울지 않고 소리 지르지 않고 아이와 대화가 되면 됩니다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혼자 노는 걸 더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성적인 성격을 타고난 아이들은 앞에 나서는 걸 좋아하지 않고 운동하는 것도 좋아 하지 않습니다 책을 읽거나 종이 접기를 좋아하고 점토로 만드는 걸 좋아 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활동적인 아이들이 옆에 있으면 정신이 없어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어울리지 못하니 사회성이 부족 해질 수는 있으나 매사에 꼼꼼하고 신중한 성격이 있어 큰 사고를 치지 않는 장점도 있습니다 아이가 전문 심리 상담을 받을 만큼 문제가 있지 않으면 아이의 있는 모습 그대로 봐주는 좋을 것 같아요
411
412
413
414
4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