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아이의 행동이 집과 유치원에서 행동이 다른 것 같아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외동인 경우 집에 오면 엄마 아빠의 관심과 사랑은 독차지 하고 장난감이나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도 경쟁자가 없어 편하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마음껏 음식을 먹을 수 있어요 하지만 유치원은 단체 생활을 하는 곳이다 보니 선생님의 관심도 다른 아이들과 나누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아이에게 질투심이나 경쟁심이 생겨 나오는 행동 입니다 아이에게 유치원은 다른 아이와 함께 단체 생활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나누어서 가지고 놀고 너만 관심과 사랑을 줄 수 없다고 이야기 해주고 이해 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유치원에서 아이가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느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한 활동이나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불안하고 불편함이 있는 아이인 경우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경우가 있어요 아이의 기질이나 성향에 따라 차이를 많이 보입니다 독립심이 강하고 자신감이 높은 아이의 경우 수업을 잘 하려고 하는 마음에 생각 처럼 되지 않으면 스트레스을 받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아이가 무엇을 어려워 하는 점을 알아 내고 아이의 부담을 줄여 주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아이가 완벽하게 수업을 하지 않고 조금 편안하게 수업 해도 된다고 말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유치원에서 아이가 말썽쟁이라고 연락이 왔네요.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 마다 다르겠지만 남자 아이가 6살이 되면 형아라고 생각 하고 아기 처럼 대해주면 어떤 아이는 자존심이 상해 하고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도와주는 걸 싫어 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여자 아이에 비해 혼자 독립적으로 행동 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방적으로 너는 못하니깐 엄마가 해줄께 보다 엄마가 좀 도와줄께 하며 우회해서 말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너가 주도을 하는 데 엄마다 도와준다는 느낌이 있어야 합니다 유치원도 단체 생활을 하는 곳이다 보니 선생님 입장에서 계속 기다릴수 없고 다음 수업을 진행 해야 하다 보니 아이 입장에서 내가 하고 있는 놀이나 공부가 끝나지 않았는데 다른 것을 한다고 정리 하라고 하면 아이는 화가 나고 말썽을 부릴수 있습니다 엄마는 아이에게 유치원은 단체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이야기 하고 가정에서 아이가 천천히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기다려 주세요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다른 아이들보다 느리게 행동할 때 어떻게 격려하고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맞습니다 아이마다 성장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부모님 입장에서 고구마 10개 정도 먹고 있는 느낌이 날 때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느리다고 해서 혼을 내거나 부모님이 아이의 일을 해주다 보면 아이는 부모님에게 항상 의지를 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아이의 독립심이나 자신감을 떨어 지기 일 수 입니다 부모님이 도와줘서 빨리 일을 처리 하는 것보다 조금 느려도 아이가 직접 일을 처리 하는 것이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훨씬 유리 합니다 그때 까지 속 터지는 마음을 잘 다스리는 것이 어렵습니다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아이의 행동문제를 교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훈육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에게 혼이 많이 나는 아이이거나 부모님이 화가 많은 경우 아이가 혼이 나는 것이 두려워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부모 입장에서 아이가 바르게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 잔소리를 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있지만 아이 입장에서 부모님의 화는 무섭고 두렵기 때문에 순간을 모면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곤 합니다 거짓말이 많아 지면 아이 인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면 부모님 입장에서 금방 알 수 있기 때문에 화를 내고 혼을 내는 것 보다 왜 아이가 거짓말을 할까 한번 더 생각 해보고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아이의 문제점을 해결 해줘야 합니다 화를 내게 되면 아이들은 두려움에 이야기를 하지 않거나 하기 때문에 항상 대화시 평정심을 유지 하고 흥분한 목소리를 내지 말아야 합니다
456
457
458
459
4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