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미는 도대체 어떻게 멀리서도 방향을 잡고 음식을 찾아서 다른 동료들을 불러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는 페로몬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개미 몸속에서 여러가지 물질들을 조합해 페로몬을 만들어 뿜는데, 휘발성이 너무 강해 멀리있는 동료들에게도 전달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한답니다.페로몬을 땅에 바르거나, 공기중으로 휘발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먹이의 발견, 동료를 부를때, 위험발견 등 상황에 따라 여러물질들을 조합하여 페로몬을 생성/ 뿜어냅니다.따라서 개미는 음식을 발견하면, 혼자 가져가거나 동료들에게 페로몬으로 의사소통하여 협력하여 음식을 가져갑니다.
Q. 멀미할 때 먹는 멀미약은 어떤 원리인기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멀미약은 일반적으로 멀미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멀미약의 원리는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1) 항히스타민제항히스타민제는 뇌 내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히스타민은 뇌 내에서 전정기관과 시각 정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데, 항히스타민제가 이를 차단하여 뇌 내의 상반된 정보를 일치시켜주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킵니다.2)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혈관 수축을 일으키는 호르몬 안지오텐신을 차단하여 혈관의 수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혈액의 순환량이 늘어나고, 전신의 혈액 순환 상태가 개선되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3) 항코리네르제항코리네르제는 전정기관에서 분비되는 세포 외 매트릭스인 코리네르를 차단하여 전정기관의 자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뇌 내에 전달되는 정보가 상반되는 것을 방지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킵니다.4) 세포막안정제세포막안정제는 전정기관 내부에서 이온의 교환과 세포막의 안정을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전정기관의 자극이 완화되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이처럼 각각의 멀미약은 다양한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하지만, 약물은 개인마다 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정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 있는 빙하가 다 녹는다면 어떤 일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는 지구에서 가장 많은 민물을 저장하고 있습니다.바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물을 저장하고 있으며, 지구 육지의 약 10% 수준의 면적을 가집니다.이 빙하는 대부분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빙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빙하가 저장하고 있는 물은 전체 민물의 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해수면이 약 6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참고로 영국 리즈대학교 앤드류 셰퍼드 교수는 "해수면이 1cm 높아질 때 마다 600만명이 터전을 잃는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의 팽창화는 어떻게 증명 된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팽창화에 대한 일반적인 역사 먼저 전해드립니다.태초에 아무것도 없던 시절, 은하도 별도 원자도 없고 시간과 공간마저도 태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 시간과 공간이 탄생하는 시점을 "대폭발" 또는 "빅뱅"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현대 우주론의 출발점은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정적우주론이었으며, 아인슈타인은 "우주는 팽창하지 않으며 수축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했었습니다.그러나 1916년 러시아 수학자 프리드만과 벨기에 르메트르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그들의 생각은 우주가 팽창해야한다는 것이었으며 각각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나 아인슈타인은 이를 무시하였습니다.1929년 아인슈타인에게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합니다.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은하들이 후퇴하고 있음을 관측해내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표한 것입니다.결국 아인슈타인은 1931년 자신의 논문을 철회했습니다.상기 말씀드린 것과 같이 우주 팽창화의 가장 첫번째 근거는 "허블-르메트르 법칙" 입니다.이 법칙에서는 "적색편이"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적색편이(Red shift)는 물체가 멀어질수록 파장이 늘어지기 때문에 물체의 스펙트럼이 붉은 빛으로 치우친다는 의미이며, 빛을 내는 천체가 우리와 멀어진다면 빛의 파장이 길어져 붉은 빛을 띈다는 것입니다.이와 반대로 청색편이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구름 모양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크게 적운형, 층운형이 있으며, 모양이 다른 이유는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1) 적운형 구름위로 높이 솟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강할때 생성됩니다.좁은 지역에 소나기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이 있습니다.2) 층운형 구름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약할때 생성됩니다.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진운의 경우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발생된다고 주장되고있으나, 학계에서는 근거부족으로 학설로 인정되지 않고 있습니다.현재로서는 유사과학으로 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에 구름은 어떠한 과학적 원리로 각양각색으로 생기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크게 적운형, 층운형이 있으며, 모양이 다른 이유는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1) 적운형 구름위로 높이 솟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강할때 생성됩니다.좁은 지역에 소나기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이 있습니다.2) 층운형 구름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약할때 생성됩니다.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어제 저녁쯤에 핑크색 구름을 봤는데 왜 이런 색깔이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에는 대기(공기)가 있습니다.햇빛은 공기에 의해 산란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빛이 산란이 잘 되어 우리눈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구름이 핑크색 인 이유도 이와 유사합니다.밤이 되어가며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워지면서 햇빛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햇빛 중 파란빝 대부분은 짧은 파장으로 인해 우리 눈 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됩니다.반면, 긴 파장인 붉은빛은 우리눈까지 도달할수 있기 때문에핑크색 또는 보라색 구름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