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지엔6와 함께 복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예 같이 드셔도 됩니다===================================상호작용1) INR(국제정상화비율)의 변화 : 이 약을 포함한 항생물질을 항응고제와 동시에 투여 받은 환자에서 항응고 활성의 증가가 보고되었다. 감염성질환(그리고 염증성 과정을 동반한), 환자의 연령과 일반적인 상태는 위험요소가 된다. 비록 이 약과 와파린의 상호작용이 임상시험을 통해 밝혀지지 않았지만 INR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 경구용 항응고제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항생물질의 일부종류들, 특히 플루오로퀴놀론, 마크로라이드, 사이클린, 코트리목사졸과 일부 세팔로스포린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2) 정균작용을 하는 약물들이 페니실린에 의한 살균작용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미노사이클린을 페니실린과 병용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3) 테트라사이클린계 약물을 경구용 피임약과 병용투여 할 경우 경구용 피임약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4)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제산제 또는 이들 양이온을 함유하는 다른 약물들, 철ㆍ아연을 함유하고 있는 제제와 약용탄, 카올린, 펙틴 또는 비스무스(bismuth)염 제제에 의해 테트라사이클린계 약물의 흡수가 저하되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양이온 함유 약물과 병용투여 하는 경우에는 테트라사이클린계 약물의 흡수가 저하되므로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투여한다.5) 알코올, 바르비탈계,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리팜피신, 프리미돈은 이 약의 반감기를 감소시킨다.6) 테트라사이클린과 메톡시플루란의 병용투여 시 사망에까지 이르는 치명적인 신독성이 보고되었다. 만약 두 약물의 병용투여를 고려한다면 철저하게 주의하여야 한다.7) 설폰요소계 혈당강하약, 인슐린과 병용투여 시 혈당강하작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8) 디곡신과 병용투여 시 장내세균총의 변화로 인해 디곡신의 생체내이용율이 증가되어 혈청내 디곡신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테트라사이클린 복용을 중지한 후 몇 개월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9) 간독성 약물과의 병용투여 시 주의한다.10) 이 약 및 레티노이드 제제(이소트레티노인 등)는 각각 가성뇌종양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 약의 투여직전, 투여중 및 투여직후에는 레티노이드 제제의 투여를 피해야한다.11) 디다노신과의 병용투여 시 위의 pH 증가로 인한 소화흡수감소가 나타나므로 디다노신과 병용투여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2시간 이상의 투여간격을 두고 복용한다.12) 사이클로스포린과의 병용투여 시 사이클로스포린 독성이 증가할 수 있다.13) 테오필린과의 병용투여 시 소화기계 이상반응이 증가할 수 있다.14) 메토트렉세이트와의 병용투여 시 메토트렉세이트의 독성이 증가할 수 있다.15) 콜레스티라민과의 병용투여 시 테트라사이클린류의 흡수를 감소시킨다.16) 이 약은 porfimer sodium 같이 피부의 광과민성을 높이는 약제와의 병용에 의해 광과민반응의 위험이 증가한다.17) 테트라사이클린계 약물과 맥각 알칼로이드 또는 그 유도체와의 병용투여 시 맥각중독증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Q. 피임약이랑 홍시랑 같이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비타민c 과량 동시복용은 피하세요-------------------------------------------------------- 상호작용1) 경구 피임제와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파탄성 출혈 및/또는 경구 피임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호 작용이 문헌에 보고되었다.- 간대사: 마이크로좀 효소, 특히 cytochrome P450 효소(CYP) 유도 약물과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성 호르몬 청소율이 증가하여 혈중농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이 약을 포함한 경구피임약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 페니토인, 히단토인, 바르비탈계(페노바비탈), 프리미돈, 보센탄, 카르바마제핀, 리팜피신, 리파부틴, 옥스카르바제핀, 토피라메이트, 펠바메이트, 그리세오풀빈, 루피나미드, 아프레피탄트, 일부 HIV 프로테아제 저해제(예 : 리토나비르), 비뉴클레오시드유사체 역전사효소억제제(NNRTI, 예 : 에파비렌즈), 세인트존스풀(St. John's wort)을 포함한 생약. 효소 유도는 치료 며칠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대 효소 유도는 몇 주 내로 관찰된다. 치료 중단 후, 효소 유도는 28일까지 지속될 수 있다. 호르몬 피임약과의 병용투여시 다수의 HIV프로테아제 저해제(감소[예: 넬피나비르, 리토나비르, 다루나비르/리토나비르, (포스)암프레나비르/리토나비르,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티프라나비르/리토나비르] 또는 증가[예: 인디나비르, 아타자나비르/리토나비르]) 또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억제제(NNRTI, 감소[예: 네비라핀], 또는 증가[예: 에트라비린])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저해제(감소[예: 보세프레비르, 텔라프레비르])가 데소게스트렐의 활성대사체 에토노게스트렐을 포함하는 프로게스틴 또는 에스트로겐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오는 효과의 합은 일부 사례와 임상적 연관이 있을 수 있다.위 간 효소 유도 의약품 또는 한방 요법 중 어느 하나라도 치료를 받는 여성은 이 약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을 조언받아야 한다. 간 효소 유도 약제 병용 투여 기간 중 및 투여 중단 후 28일까지 차단 피임법을 이 약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효소 유도 약제로 장기간 치료받는 여성은 효소 유도 약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체 피임법을 고려해야 한다.2)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을 함유한 복합경구피임제와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로수바스타틴을 병용 투여하면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AUC가 약 20-25% 증가한다. 아스코르브산 및 아세트아미노펜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강력한 또는 중등도의 CYP3A 저해제(예 :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클래리스로마이신, 플루코나졸, 딜티아젬, 에리스로마이신, 보리코나졸, 자몽주스)와의 병용투여는 에스트로겐, 또는 데소게스트렐의 활성 대사체인 에토노게스트렐을 포함하는 프로게스틴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3) 경구 피임제는 다른 약제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혈장 및 조직 농도가 증가하거나 (예: 사이클로스포린, 프레드니솔론, 치오필린, 티자니딘, 보리코나졸) 또는 감소할 수 있다(예: 라모트리진, 아세트아미노펜, 모르핀, 살리실산, 테마제팜). 라모트리진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면 발작 조절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라모트리진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갑상선 호르몬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대체요법으로 치료 중인 여성은 복합경구피임제 사용으로 갑상선-결합 글로불린(thyroid-binding globulin) 및 코르티솔-결합 글로불린(cortisol-binding globulin)의 혈중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갑상선 호르몬 또는 코르티솔 용량 증가가 필요할 수 있다.4)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복합제로 수행한 C형 간염 바이러스 환자 임상 연구에서, ALT 수치 상승이 정상최고치(ULN) 대비 5배 이상 나오는 빈도가 복합경구피임제와 같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함유 제제를 사용하는 여성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약은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복합제 투여를 시작하기 전에 복용을 중단하여야 한다(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및 5. 일반적 주의 참조). 이 약은 위 복합요법의 종료 후 약 2주가 경과하였을 때 재복용할 수 있다.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 복합제를 포함하는 C형 간염 항바이러스제와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함유 복합경구피임제 병용 투여시 ALT 상승이 관찰되었다.5) 경구피임제는 내당능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또는 혈당강하제의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다.6) β-차단제(메토프롤올 등), 벤조디아제핀과 병용투여 시 이 약물의 작용이 강화되고 연장될 수 있다.7) 모다피닐과 병용투여 시 치료기간 및 치료중지 이후 주기 동안 효소유도로 피임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8) 플루나리진과 병용투여 시 유루증이 나타날 수 있다.9) 담즙산 제거제(bile acid sequestrant)인 콜레세브이람과 복합경구피임제를 함께 투여하면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AUC가 유의하게 감소한다. 복합경구피임제의 에스트로겐 성분의 혈중 농도가 감소하면 잠재적으로 피임 효과 감소 또는 비생리기 자궁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복합경구피임제와 콜레세브이람 병용 투여 시 4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따로 투여한다.
Q. 머시론 복용중 편두통 약 복용 관련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머시론 효과에는 문제가 없겠네요 타이레놀은 동시 복용 시 좀 주의해야 합니다------------------------------------------------ 상호작용1) 경구 피임제와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파탄성 출혈 및/또는 경구 피임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호 작용이 문헌에 보고되었다.- 간대사: 마이크로좀 효소, 특히 cytochrome P450 효소(CYP) 유도 약물과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성 호르몬 청소율이 증가하여 혈중농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이 약을 포함한 경구피임약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 페니토인, 히단토인, 바르비탈계(페노바비탈), 프리미돈, 보센탄, 카르바마제핀, 리팜피신, 리파부틴, 옥스카르바제핀, 토피라메이트, 펠바메이트, 그리세오풀빈, 루피나미드, 아프레피탄트, 일부 HIV 프로테아제 저해제(예 : 리토나비르), 비뉴클레오시드유사체 역전사효소억제제(NNRTI, 예 : 에파비렌즈), 세인트존스풀(St. John's wort)을 포함한 생약. 효소 유도는 치료 며칠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대 효소 유도는 몇 주 내로 관찰된다. 치료 중단 후, 효소 유도는 28일까지 지속될 수 있다. 호르몬 피임약과의 병용투여시 다수의 HIV프로테아제 저해제(감소[예: 넬피나비르, 리토나비르, 다루나비르/리토나비르, (포스)암프레나비르/리토나비르,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티프라나비르/리토나비르] 또는 증가[예: 인디나비르, 아타자나비르/리토나비르]) 또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억제제(NNRTI, 감소[예: 네비라핀], 또는 증가[예: 에트라비린])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저해제(감소[예: 보세프레비르, 텔라프레비르])가 데소게스트렐의 활성대사체 에토노게스트렐을 포함하는 프로게스틴 또는 에스트로겐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오는 효과의 합은 일부 사례와 임상적 연관이 있을 수 있다.위 간 효소 유도 의약품 또는 한방 요법 중 어느 하나라도 치료를 받는 여성은 이 약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을 조언받아야 한다. 간 효소 유도 약제 병용 투여 기간 중 및 투여 중단 후 28일까지 차단 피임법을 이 약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효소 유도 약제로 장기간 치료받는 여성은 효소 유도 약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체 피임법을 고려해야 한다.2)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을 함유한 복합경구피임제와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로수바스타틴을 병용 투여하면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AUC가 약 20-25% 증가한다. 아스코르브산 및 아세트아미노펜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강력한 또는 중등도의 CYP3A 저해제(예 :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클래리스로마이신, 플루코나졸, 딜티아젬, 에리스로마이신, 보리코나졸, 자몽주스)와의 병용투여는 에스트로겐, 또는 데소게스트렐의 활성 대사체인 에토노게스트렐을 포함하는 프로게스틴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3) 경구 피임제는 다른 약제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혈장 및 조직 농도가 증가하거나 (예: 사이클로스포린, 프레드니솔론, 치오필린, 티자니딘, 보리코나졸) 또는 감소할 수 있다(예: 라모트리진, 아세트아미노펜, 모르핀, 살리실산, 테마제팜). 라모트리진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면 발작 조절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라모트리진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갑상선 호르몬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대체요법으로 치료 중인 여성은 복합경구피임제 사용으로 갑상선-결합 글로불린(thyroid-binding globulin) 및 코르티솔-결합 글로불린(cortisol-binding globulin)의 혈중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갑상선 호르몬 또는 코르티솔 용량 증가가 필요할 수 있다.4)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복합제로 수행한 C형 간염 바이러스 환자 임상 연구에서, ALT 수치 상승이 정상최고치(ULN) 대비 5배 이상 나오는 빈도가 복합경구피임제와 같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함유 제제를 사용하는 여성에게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약은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복합제 투여를 시작하기 전에 복용을 중단하여야 한다(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및 5. 일반적 주의 참조). 이 약은 위 복합요법의 종료 후 약 2주가 경과하였을 때 재복용할 수 있다.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 복합제를 포함하는 C형 간염 항바이러스제와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함유 복합경구피임제 병용 투여시 ALT 상승이 관찰되었다.5) 경구피임제는 내당능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또는 혈당강하제의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다.6) β-차단제(메토프롤올 등), 벤조디아제핀과 병용투여 시 이 약물의 작용이 강화되고 연장될 수 있다.7) 모다피닐과 병용투여 시 치료기간 및 치료중지 이후 주기 동안 효소유도로 피임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8) 플루나리진과 병용투여 시 유루증이 나타날 수 있다.9) 담즙산 제거제(bile acid sequestrant)인 콜레세브이람과 복합경구피임제를 함께 투여하면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의 AUC가 유의하게 감소한다. 복합경구피임제의 에스트로겐 성분의 혈중 농도가 감소하면 잠재적으로 피임 효과 감소 또는 비생리기 자궁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복합경구피임제와 콜레세브이람 병용 투여 시 4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따로 투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