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에서 블루오션 레드오션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블루 오션(Blue Ocean)마음을 치유하는 대표색 7가지 중 하나인 파란색은 평화와 보호, 소통을 상징하며 심신을 차분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불면증에 도움을 준다.블루 오션은 INSEAD 경영대학원의 김위찬 교수와 러네이 모본 교수가 논문을 통해서 발표한 단어로 새롭게 탄생하거나 경쟁자가 별로 없는 시장을 의미한다.쉽게 말해서 넓고 푸른 바다에서 경쟁하는 사람 없이 편하게 지낸다는 것인데 사실 블루 오션은 하나의 시장에서 고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독점하는 것이 어렵다.그래서 기업이 블루 오션 사업에 진출하면 한동안 독점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지만 나중에는 다른 기업들이 진출하기 때문에 틈새시장을 공략한다고 볼 수 있다.가끔 언론에서 블루 오션이라고 말하는 사업들이 있는데 대기업이 아니라면 그전에는 없었던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통해서 새로운 시장을 창조해야만 한다.이렇게 만들어진 아이디어는 100% 수익이 난다는 보장도 없고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하더라도 대기업과 다른 경쟁자들의 승부를 계속 이어가야만 한다.때문에 블루 오션이라고 주목받던 사업을 영위하던 기업이나 개인을 몇 년 후에 보면 다른 일을 하거나 명맥만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블루 오션은 직장을 구할 때도 허용되는 단어로 경쟁률이 낮아서 취업하기 좋은 기업을 블루 오션으로 볼 수 있지만 대우가 좋지 않고 정년까지 다니기 어려울 수 있다.반면 신의 직장, 철밥통이라고 불리는 공무원, 공기업은 높은 경쟁률로 들어가기 어려운 레드 오션이지만 한번 들어가면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블루 오션이다.2. 레드 오션(Red Ocean)처음에는 블루 오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등장한 단어로 빨간색은 핏빛 바다, 그만큼 경쟁하는 사람이 많은 시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때문에 경제/경영 용어로 많이 쓰이며 이미 포화상태가 진행된 산업이기 때문에 새로 진입하는 사람들이 성공하기 어려운 사업을 의미한다.일반적으로 모든 시장은 상품생명주기(PLC)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레드 오션은 도입기, 성장기, 한정기, 쇠퇴기 중에서 후반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때문에 진입장벽이 낮고 아이템의 수명이 짧은 아이템은 블루 오션에서 레드 오션으로 변하기 쉬우며 나중에는 한 명만 사로 남는 제로섬, 치킨게임으로 흘러간다.레드 오션 시장은 꾸준히 수요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수익을 나누는 형태가 될 수 있지만 가격이나 품질 두 가지 중에서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면 도태된다.그래서 가격을 위주로 경쟁하는 시장에서는 질 나쁜 상품이 많아지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보장하던 아이템들도 불안한 상태로 변할 수 있다.하지만 레드 오션에 진입해서 오래된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한 자본과 노력, 안목을 키우면서 다른 사람들이 따라올 수 없는 시장을 선점하는 모습을 보인다.대표적인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의 경우 기존의 커피 전문점을 체인점 형태로 관리하면서 판도를 바꿔 놓았으며 레드 오션인 대한민국 카페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레드 오션은 단순하게 경쟁이 치열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독과점인 경우 해당하지 않으며 수요가 많아지면서 공급이 증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Q. 경제용어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군중(crowd) + 자금조달(funding)을 받는다는 의미로, 자금이 필요한 개인, 단체, 기업이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불특정다수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을 말합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소셜 펀딩이라고도 합니다. 크라우드 펀딩은 크게 ①대출형, ②투자형, ③후원형, ④기부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① 대출형은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P2P 금융(개인간 직거래 방식 금융 서비스)의 일종이다. 자금 여유가 있는 개인은 돈을 빌려주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돌려 받음으로써 수익을 올릴 수 있고, 돈을 빌리는 개인 또는 법인은 까다롭고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금융권을 통하지 않아도 쉽고 간단하게 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받기 어려운 이들이 주로 찾는다. ② 투자형은 신생기업이나 벤처기업, 개발프로젝트 등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대출형과 마찬가지로 자금수요자는 은행을 통하지 않고도 쉽게 투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투자자는 투자에 따른 지분 획득 등을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다.③후원형, ④기부형은 금전적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 펀딩이다. ③ 후원형은 주로 창작활동, 문화예술상품, 사회공익활동 등을 지원하는데, 영화·연극·음반 제작, 전시회, 콘서트 등의 공연, 스포츠 행사, 그리고 다양한 사회공익 프로젝트 등에 자금을 후원하고 공연티켓, 시제품, 기념품을 받거나 기여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식의 작은 보답을 받게 된다. ④ 기부형은 공익을 위한 목적으로 순수하게 기부하는 형태이다.대표적 성공 사례로 미국의 신생 기업 페블테크놀로지스(Pebble Tech.)의 펀딩이 꼽힌다. 기존 금융권의 자금 유입이 어려웠던 페블테크놀로지스는 손목에 차는 스마트폰인 '페블스마트워치'의 생산자금 모금을 위해 킥스타터라에서 10만 달러를 목표로 모금을 진행했다. 모금 시작 후 단 2시간 만에 목표액을 넘겼고 최종모금액은 무려 1,000만 달러 이상을 달성하였는데, 회사는 이 투자금으로 제품 개발에 착수할 수 있었습니다.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