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아포리즘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된 형식으로 나타낸 짧은 글. 금언 ·격언 ·경구 ·잠언 따위를 가리킨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포리즘 중 하나는 히포크라테스의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입니다.물론 번역상으로는 여러가지 반박들이 존재합니다.https://www.mk.co.kr/news/contributors/6849841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베레모의 역사는 어디서 시작됐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선 베레 Beret는 프랑스어로 펠트로 만든 챙이 없는 둥근 모자를 말합니다. 베레는 일찍이 크레타 시대부터 사람들이 착용했고 그리스와 로마 시대를 거쳐 각각 필로스와 필레우스라는 이름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다고 합니다.자료에 따르면 베레모가 남부 유럽의 전통 모자였기 때문에 비전투 목적이나 민병들이 착용한 경우는 오래 전부터 많은 사례가 있었지만, 군용으로 베레모를 제식 채용한 곳은 1889년 프랑스 육군에 새로 창설된 산악부대 Chasseurs alpins에서 부터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느리다..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근 물가상승이 엄청나 각 금융당국에서는 여러가지 긴축정책을 벌여왔는데, 이러한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의 속도가 늦춰지고 있다 -> 물가상승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미술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동서양을 통틀어서 최초의 문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쐐기 문자 또는 설형 문자는 수메르인들이 기원전 3000년경부터 사용했던 상형문자로, 현재 기록되거나 발굴된 것 중 가장 최초의 문자입니다.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삼국지의 조자룡은 실제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운(趙雲, ? ~ 229년 11월)은 중국 후한 말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으로, 자는 자룡(子龍)이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자'로 더 유명한 사람이기도 하며, 실존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영국병'의 역사적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병(英國病, 영어: British disease)은 보수주의자들이나 시사평론가들이 1970년대 경제침체를 겪은 영국을 비하하는 데 쓰인 용어를 말합니다.영국은 1970~1980년대 과도한 복지와 노동규제로 경기침체와 물가상승 등으로 몸살을 앓았다. 노동의지가 줄어들면서 소위 '영국병'에 걸렸다는 조롱을 받게 된것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cfe.org/20200205_22356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유통기간에서 소비기간으로 바뀐다고 하던데요. 달라지는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뜻한다.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제품을 섭취했을 때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의미한다. 표기법을 유통사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소비기한은 일반적으로 유통기한보다 20~50% 길다고 합니다.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1/02/2023010200611.html
철학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왜 독일은 소세지로 유명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에서 소시지가 발달한 것은 기후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농사보다는 농가에서의 사육이 더 적합한 기후로서 음식 재료로 사육 기간이 짧은 돼지를 택했던 것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드라마를 보면 궁예가 관심법을 쓰는 장면이 있는데 이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예가 ‘관심법’을 쓰며 폭정을 했다는 것은 역사서에 기록돼 있느넫, ‘삼국사기’ 궁예열전에선 ‘신통력’이라 표현했고, ‘고려사’에선 좀 더 구체적으로 ‘미륵 관심법’이란 용어가 나온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언제부터 생일에는 케익을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서는 케익의 역사를 독일의 풍습에서 찾고 있습니다.음식문화평론가 윤덕노씨가 쓴 의 설명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람이 태어나면 일생 동안 그 사람을 지켜보는 수호천사와 악마가 있다고 믿었다. 평소엔 교감할 수 없지만 생일에는 수호천사나 악마와 영적으로 통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아이가 태어나거나 생일이 되면 오늘날의 케이크라 할 수 있는, 달 모양 빵을 만들어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신전으로 갖고 가 아이의 안녕과 행복을 빌었다. 촛불은 소원을 신에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 생일 케이크를 자르기 전 소원을 빈 다음 촛불을 불어 끄는 이유가 여기서 유래했다.”‘킨더페스트’는 중세 독일의 풍습이라고 합니다. (조민영 지음)에서는 ‘킨테페스테’라고 적었는데, 중세 독일 농가에서 생일을 맞은 아이가 아침에 눈을 뜨면 촛불을 켠 케이크를 선물하고, 촛불은 저녁 식사 때 온 가족이 둘러앉아 케이크를 먹을 때까지 계속 켜놓았다고 해요. 아이의 실제 나이보다 하나 더 많이 밝혀서 또 다른 한 해를 이끌어주는 ‘생명의 등불’로 삼도록 했다는 거죠. 에도 “중세 독일에서 아동절(kinderfest) 때 빵 반죽을 포대기에 누운 아기 예수 형태로 빚어 생일을 축하했는데, 이런 전통이 생일 케이크로 발전했다”고 나옵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87894.html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