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껌이름은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 국내 최초의 껌은 롯데껌이 아니라 1956년 발매된 '해태풍선껌'이라고 합니다. 1967년 설립된 롯데제과는 '쿨민트껌', '바브민트껌'을 내놓으며 해태를 제치고 껌 시장을 장악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005030002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육신은 누구이며 왜 한국을 빛낸 위인에 들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육신(死六臣)은 '죽은 여섯 신하'라는 뜻으로,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사전에 발각되어 처형당한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응부와 자살한 유성원을 일컫는 말입니다. 한국을 빛낸 위인100인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노래'를 말하는데, 노랫말에 들어가는 100명의 위인에 사육신이 포함되있으며 이는 100명을 맞추기 위해 억지로 끼워맞추고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민손놀이 연날리기는 전쟁도구 였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에 따르면 연날리기는 전쟁보다는 민속놀이에 더 가깝다고 합니다.다만, 연의 특성을 활용하여 신호의 용도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고려 시대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이 탐라국(제주도)에 살던 목호의 반란을 잠재울 때에도 연을 사용했다는 전설이 있다. 병사를 연에 매달아 절벽에 착륙시켰다고도 하고, 불덩이를 매단 연을 자자성 안으로 날려 보내 성을 무너뜨렸다는 기록도 있다. 불싸움과 연날리기를 잘 활용한 전술인데, 이 기록이 맞는다면 그때에도 꽤나 새로운 전술이었을 것이다.한편, 「고려사」에는 연이 떨어진 집에는 액이 있다하여 왕이 벌을 내리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별이 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늘에서 떨어진 연을 불길하게 보는 일이 고려 시대부터 있었던 셈이다. 이처럼 연을 액의 상징으로 보는 관습은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진다.조선 시대연이 가장 극적으로 나온 때는 충무공 이순신이 전쟁을 하고 있을 때였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육지에서 병선으로, 병선과 병선이 긴급하게 연락하는 통신 수단으로 연을 사용했다. 먼저 연에다가 글을 적어 아군 진영에 띄워 보내는 방법을 썼고, 또 바다에서 왜군과 싸울 때에는 서른 여 가지의 독특한 그림이 그려진 문양 연을 하늘에 띄워 신호연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조선 해군의 수많은 병선들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일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신호연이었던 것이다. 지금 생각해 봐도 신호연 방식은 탁월한 통신 연락 체계였다. 이순신 장군의 연전연승은 거북선과 같은 훌륭한 장비 덕도 있었겠지만, 무엇보다도 장군의 지략을 구체화하고, 전체를 하나처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신호연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왜적을 가까이 끌어들인 다음 신호연을 날려 눈 깜짝할 사이에 학익진을 펼치는 장관은 상상만 해도 흥분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커피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6년 아관파천으로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관으로 거처를 옴겨 그그 곳에 머물때 러시아 공사 웨베르를 통해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를 마셨다고 전해집니다. 1902년 정동에 지어진 손탁 호텔의 식당은 커피숍을 겸했는데 이 곳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커피숍이라고 합니다.그러던 것이 다방문화로 이어지다가 최근의 커피전문점들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지금의 카페와 비슷한 커피전문점이 생겼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 어떤 역사적인 유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역국의 유래와 관련하여는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k-ang2.com/20출산 후 먹는 음식이 미역국이고 엄마의 출산일이 되는 아이의 생일에는 미역국을 먹는 문화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미역국을 먹는 문화는 현대에도 있는데, 미역에는 피를 맑게 해 주는 요드 성분이 많아 출혈이 심한 산모에게 매우 좋다고 과학적으로도 밝혀졌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졸업식날 학사모를 쓰는 건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 학사모는 처음 그리스 시대에서 유래했다고합니다. 당시 귀족들이 졸업식에 참여하려고 화려한 옷을 입고 나왔는데 한 학생이 노동복 차림에 손에 네모난 흑손 판을 들고 왔습니다.http://www.ihansung.co.kr/4614
역사
역사 이미지
Q.  추억으로 묻혀버린 포장마차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 포장마차의 유래는 확실치 않지만 1950년대 손수레에 광목천을 두른 노점상에서 간단한 안주와 소주를 팔며 시작됐다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RY9LQZ2TA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왕이나 왕족 중에도 성 소수자가 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련하여 고려 목종이나 공민왕 등이 있습니다.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insight.co.kr/news/124593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미7조약은 무엇이고 어떠한 항목으로 구성된 조약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가 1907년 대한제국의 고종을 강제 폐위시키고, 군대 해산을 비롯하여 대한제국의 행정 및 법적 분야에서의 자율적 권한을 박탈한 강제 협약으로 한일 신협약이라고도 불립니다.한일 신협약은 전체 7개 조문으로 되어 있어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으로도 불리는 것인데, 시정 개선에 대한 통감의 지도를 받을 것(1조), 법령 제정과 행정상 처분은 통감의 지도를 받을 것(2조), 고등 관리 임면은 통감의 동의를 받을 것(4조), 통감이 추천하는 일본인을 한국 관리로 임명할 것(5조), 통감의 동의 없이 외국인을 용빙하지 말 것(6조)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이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모든 행정 및 법적 분야에서의 자율적 권한은 일제에 의해 철저히 박탈당하였다고 평가 받습니다.아래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4_1380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 대부분 나라의 국기는 직사각형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 유엔은 회원국들이 서로 다른 나라보다 크기가 크거나 모양이 튀는 국기를 걸려고 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이 같은 비율과 형태를 지키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20910/7861426/1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