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역사
역사 이미지
Q.  근대신문의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대신문의 역사 초기에 관한 부분은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근대신문은 서양과 일본의 것을 본떠 1883년(고종 20) 발간한 『한성순보(漢城旬報)』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근대적 신문시대는 바로 『한성순보』를 기점으로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 이후의 신문의 발달은 시대적으로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즉 개화기 · 일제강점기 · 광복 이후 등으로 개화기는 다시 이식기, 생장기, 투쟁기로 나누어지고, 일제강점기는 암흑기, 재생 · 수난기, 소멸기로, 광복 이후시대는 혼란기, 정착기, 자유기, 정비 · 확장기, 자율경쟁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신문의 역사가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되어있는 자료를 안내드립니다.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944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의 신화에 나오는 미륵의 존재는 어떻게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륵은 미트라(mitra)에서 파생한 산스크리트어 Maitreya의 음역으로서 본래는 보살의 존재로서 자씨보살(慈氏菩薩)로도 불린다고 합니다. 미륵보살은 석가모니부처가 멸한 후 56억 7천만년 후에 하생하여 성불하고 용화세계에서 대중을 교화하기로 예정된 미래불이라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kculture.or.kr/brd/board/219/L/menu/456?brdType=R&thisPage=10&bbIdx=8337&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진왜란때 의병으로 싸운 사람들은 포상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쟁 중 포상제도가 정확히 정해진 것은 없었지만, 벼슬을 내리거나 포상하는 등의 기록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8월15일 조정에서는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을 토벌하는 것을 가상히 여겨 조헌을 봉상시첨정(奉常寺僉正)의 벼슬을 내렸다. 이후 조헌은 관군의 방해로 흩어지고 남은 700명의 의병을 이끌고 8월16일 영규의 군대와 함께 청주를 떠나 금산으로 전진했다. 이때 전라도 순찰사 권율(權慄)은 18일자로 약속된 금산성 공격 날짜를 미루자고 하였으나 조헌은 이에 따르지 않고 금산으로 진격했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의 일본군은 후속부대가 없다는 것을 알고 교대로 공격해왔고, 조헌의 700의병은 수에서 밀려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 이것을 2차 금산성 전투라고 부른다.10월에 조정에서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 겸 동지경연 의금부 춘추관사(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를 증직하였다. 조헌과 김제갑, 남정유, 승장 영규를 증직하였다.1593년 11월에 광해군이 아들 완도를 불러 포상하고 황신(黃愼) 등을 보내 치제하였다. 1604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으로 책록되고, 1734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883년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1971년에 금산의 순절지 칠백의총이 성역화되었다. 문집으로 〈중봉집〉이 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n311800&code=kc_age_30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사의의 난은 무슨 사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사의는 조선전기 신덕왕후와 왕세자 방석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목으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입니다.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에 불만을 품고 있던 그는 1402년(태종 2)에 신덕왕후와 왕세자 방석(芳碩)의 원수를 갚고, 태조에게 충성을 바친다는 구실로 태종에게 반기를 들었다고 합니다.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https://www.fnnews.com/news/202106042342088796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풍문화라고 하는 것이 무슨 문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풍 문화는 일본에서 10세기 초부터 11세기 셋칸 정치 시기를 중심으로 발달한 문화로, 12세기 인세이 시기의 헤이안 말기 문화로 이어졌다고 합니다.http://dic.kumsung.co.kr/web/smart/detail.do?headwordId=2942&pg=7&findCategory=B002005&findBookId=23&findPhoneme=%E3%84%B1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의 4대미녀가 있었다는데 반대로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의 4대미녀는 많이 알려져있어도 미남에 대한 그다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기사에 따르면 4대 미남은 반안 (潘安), 송옥(松玉), 위개(卫玠), 난능왕(兰陵王)이 있다고 하며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www.gjon.com/news/articleView.html?idxno=58481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2성 6부는 어떤 조직체제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중앙 2성6부는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인 후 고려에 맞게 조정한 것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contents.history.go.kr/front/ta/view.do?levelId=ta_h71_0040_0020_0030_0010
역사
역사 이미지
Q.  병마사라는건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마사는 양계(고려 초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설정되어 있었던 특수 지방행정 구역인 동계(東界)와 북계(北界)의 합칭, 대체로 동계는 함경도와 강원도의 일부 지역, 북계는 평안도 지역에 해당)지역에 파견되어 군사와 민사행정을 총괄하던 지방 장관을 말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3088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미국 금리 인상 언제까지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로 금리인상을 더 하는 것은 위험한 선택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한번정도의 금리인상이 더 있을 수는 있어보이며, 그 이후에는 금리가 동결되거나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인하의 길을 걷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요즘 코인시장 움직임이 거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큰 호재나 악재가 없이 방향성을 기다리고 있는 시점이라고 보여집니다.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등 여러가지 재료들이 있는데, 거래량이 작아지는 과정에서 조금씩 가격이 '흐르고'있는 상황으로 이해됩니다.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1460
81828384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