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단체 개인 둘다 있을때 실손보험 할증 기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실손은 두 가지를 다 유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일 단체실손을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개인실손은 잠시 납입중지(휴면상태로)해 놓으시고 단체실손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원래 실손은 비례보상 개념이 적용되기 때문에 2개이든 10개이든 받으시는 보험금은 실제 지출된 의료비의 일정 부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괜실히 보험료만 중복지출하는 셈인거죠. 아마도 단체실손측 보험사에서 중복가입된 사실을 알았더라면 청구액의 절반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개인실손 보험사에서 받으라고 할 겁니다. 그러나 질문자님의 경우 중복가입 사실이 인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그리고 보험료 할증은 4세대 실손에 해당되는 조항인데, 개인실손도 4세대 실손인가요? 납입중지 상태로 두시면 보험료를 납입할 이유도 없고 보험료를 할증받을 이유도 없습니다. 보험료는 이전 한해 동안의 비급여 보험금 청구이력을 바탕으로 다음 연도에 한해서 인상되는 것이며, 보험금 청구이력이 줄어들면 단계적으로 보험료가 인하됩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Q. 4세대 실비보험은 본인 부담금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의 본인부담비율은 급여는 20%, 비급여는 30%입니다. 2, 3세대 실손의 본인부담률보다 10%정도 많지만, 그 차이가 아주 크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만일 올해에 비급여 실손청구액이 100만원을 넘으면 다음해에 보험료가 100% 인상되고, 200만원을 넘으면 200% 인상되며, 300만원 이상 청구하면 300% 인상된다는 점은 큰 차이입니다. 그러나 병원에 자주 가지 않는 젊고 건강한 분이라면 4세대 실손이 저렴하고 매우 유리합니다.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바랍니다.
Q. 갱신이 될 때 엄청 많이 오를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신되는 각각의 특약들은 해당 특약별로 손해율을 예상해서 갱신시점에 보험료가 인상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갱신비율은 특약별로 다르기 때문에 한마디로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그러나 상품설명서에는 예상인상률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그 정도 인상될 것이라는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겁니다. 여러 특약들을 보다보면 대부분 갱신시에 보험료가 인상되지만, 어떤 특약은 인상폭이 매우 적거나 오히려 보험료가 적어지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따라서 상품설명서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