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재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재민 전문가입니다.
이재민 전문가
대구대봉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3월 10일 작성 됨
Q.
하원후 아이와 뭐하고 놀아주나요?
안녕하세요. 이재민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욕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집에서 노는 것은 아이 입장에서 매번 하는 것의 반복이라 흥미가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잠깐 흥미를 붙였다가 새로운 활동에 관심이 옮겨가기 때문에 이것 저것 해줘야하는 부모 입장에서는 고역이죠. 그래서 겨울이 너무 힘든 것 같습니다. 추워서 집에 말고는 갈 곳이 한정적이기 때문이죠.아이 하원 후 근처 공원 등 야외에서 1시간 정도 놀다 들어가시길 추천드립니다. 야외는 똑같은 활동을 하더라도 아이의 눈에는 늘 새로운 곳입니다. 배경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1000원짜리 공 가지고 가서 아이와 놀도록 부모는 바람 쐬면서 잠시 봐주면서 아이도 즐겁고 부모도 훨씬 편할 겁니다. 퀵보드 탈 수 있는 나이가 되면 혼자서도 한 바퀴씩 잘 돌고 오니 모두에게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하원 후 힘드시면 야외에서 즐거운 시간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초등학생1학년부터 반장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재민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반장/부회장, 회장/부회장의 유무는 사실 학교마다 다릅니다. 학교에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입니다.대부분의 학교에서는 1학년의 경우 1학기때는 뽑지 않고 2학기때는 뽑는 것으로 많이합니다.1학년에는 아예 안 뽑는 학교도 물론 있습니다.^^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수학 문제를 설명해주었는데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재민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2학년 수준의 문제에서 이해를 잘 못하는 경우라면 두가지 경우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식으로 된 계산 문제는 잘 푸는데 문장제 문제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문제에 사용된 소재가 생소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입니다.국어 문제는 아이들의 한글 수준을 반영해서 문제를 내지만 수학 문제는 아이들의 한글 수준을 뛰어넘는 문제가 많습니다. 소위 신경을 안쓰는거죠 문제 출제할때,이 경우라면 아이가 이해못하더라도 넘어가면 됩니다. 문장이 이해될 쯤 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그런데 단순 계산에 어려움이 있다면 이때는 좀 다르게 접근하셔야 됩니다. 수 감각이 부족하면 숫자가 그림으로 보입니다. 수는 의미를 가진 기호인데 그렇게 인식을 못할 경우 수학을 무척 어려워할 수 밖에 없습니다.이때는 수감각을 기르기위해서라도 반드시 구체물을 가지고 수 계산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해야합니다.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에서 다른 아이 물건을 훔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재민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걱정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와 대화를 나누는 것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 왜 어린이집 물건이 가방이 있는지에 대해 물어보면 아이 나름대로의 생각을 듣고 방향을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나쁜 행동이라는 생각없이 미숙한 사고로 발생한 일이라면 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이야기를 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하지만 나쁜 행동이라는 것을 알면서 이같은 행동을 했다면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보여주셔야 합니다. 얼마전 방송에서 임창정씨가 자신의 아이가 다른 아이를 괴롭히는 것을 보고 괴롭힘당한 아이 집에 찾아가 무릎 꿇고 사과했다는 일화를 이야기했습니다. 어떤 방법이든 아이가 잘못하면 부모님이 책임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이도 분명 느끼는바가 있을 것입니다.아이가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바른 지도되시길 바랍니다.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 게임기를 몰래 가져온걸 알게 됐는데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재민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좀 난감한 상황이시겠어요. 말씀하신 그대로의 사실이라면 아이도 분명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점은 알고 있을텐데 순간적인 충동을 못 이겨 행동했을 것이고 지금도 괴로워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때 만약 아이가 그 행동이 잘못된 행동이란 걸 모르고 그랬다면 그 행동이 잘못되었고 왜 잘못되었는지를 말로 충분히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근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알면서 그 행동을 했다면 이때는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야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그 책임은 부모에게 있기때문에 책임지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방송에서 임창정씨는 자신의 아이가 친구를 때리는 모습을 목격했을 때, 아이를 데리고 맞은 친구 집을 찾아가 그 쪽 부모님께 무릎꿇고 사과했다는 일화를 이야기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게 책임지는 모습의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어려우시겠지만 책임지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신다면 아이의 바른 성장에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