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5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이 돈의 개념이 없어 돈만생기면 다 써요 좋은방법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용돈 주는 주기를 짧게 한 후 서서히 늘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한달동안은 3일간격으로 용돈을 주다가 다음달은 5일 간격. 그다음은 일주일. 이주일. 한달 이런식으로 서서히 간격을 늘립니다.그리고 용돈 기입장을 쓰게 해서 용돈의 20-30프로는 모으게 하세요. 다음 용돈을 줄때 까지 용돈을 모았다면 다음 용돈을 줄때 일정금액의 보상금도 줘보세요.보상금을 받기위해 용돈을 모으고 아끼게 됩니다.그리고 아이와 함께 은행에 직접 가서 아이 이름의 통장을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아이가 자신의 돈이 모아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게 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아이 감기 빨리 낫게 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물 많이 마시는 것과 함께 적절한 온도와 습도 및 충분한 수면을 해 주세요. 가습기를 틀어 습도를 유지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내성적 아이가 밝고 활기차게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친구들과 함께 하는 활동적인 놀이를 많이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태권도나 축구 등 친구들과 함께 하는 운동을 하면서 친구들과 어울리고 활동을 하다보면 성향이 조금 바뀔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께서는 아의의 말에 늘 눈맞추며 귀담아 들어주시고 반응해 주시며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시어 자존감과 자신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해 주시면 좋습니다.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것도 좋습니다.
놀이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싸울때 어떻게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큰 아이가 운다고 장난감을 주신다면 큰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대로 안될때 떼를 쓰고 우는 강도가 점점 더 심해지게 됩니다. 부모님의 처사가 큰아이의 떼를 더 심하게 키우시는거지요. 동생은 매번 장난감을 빼앗기기 때문에 불만은 쌓여갈 수 있습니다.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있는 시간을 각각 정해주세요. 그리고 공평하게 한번은 큰 형이 먼저 그 다음번은 동생이 먼저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해 주세요.가급적 형제가 장난감을 같이 가지고 놀게 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1학년 딸이 스마트폰 게임에 중독된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을 강제로 못 하게 하였을 때 하루종일 운다면 스마트폰 중독이 맞습니다. 스마트폰 게임 시간을 줄이지 않는다면 점점 심각한 수준으로 중독이 될 것입니다.아이와 대화를 통해 하루에 스마트폰게임을 하는 시간을 정해 보세요. 그리고 그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스마트폰을 주지말아야 합니다. 아무리 울어도 주시면 안됩니다. 부모님의 일관된 태도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스마트폰 대신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재미나게 놀아주세요. 브로마이드 게임을 하거나 아이클레이를 하거나 놀이터에 나가도 좋고 키즈카페에 가도 좋습니다. 스마트폰 게임을 잊고 몰입할 수 있게 놀아주시고 스마트폰 게임보다 재미있는 놀이가 더 많다는 것을 알게해 주세요. 하루아침에 달라지지 않습니다.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히 실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감정표현을 억누르는 초1아들지도를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이 감정표현을 억누르시는 편은 아닌지, 아님 아이가 화를 내고 떼를 쓰며 울때 '울지 마, 그렇게 크게 울 일 아냐'라거나 '울면 ~를 다시 가져간다'와 같이 공감하지 못한 말을 하진 않았는지 체크해 보세요. 그리고 아이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많이 시켜보세요. 평소에 "네가 ~한 상황에 ~해서 답답/짜증/억울/화/언짢았구나. 화가 풀릴 때까지 맘껏 울거나 베개를 때려도 돼. ' 라고 공감하고 감정을 수용해 주는 말을 아이에게 해 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36개월이 다되어가는 아기가 말을 못하면 병원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마다 말문이 트이는 시기가 다릅니다. 36개월까지 말을 전혀 못하다가 어느날 갑자기 봇물터지듯이 말문이 트여 문장으로 말하는 아이도 많습니다. 하지만 그런 아이는 말하지 않아도 단어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으며 부모의 끊임없는 언어자극을 해 준 경우입니다. 가급적 영상매체를 보여주지 마시고 아이와 눈을 맞추며 끊임없이 언어 자극을 주세요. 아이가 물을 달라는 표현을 하면 그냥 물을 주지말고 "물줄까? 우리 **이가 목이 말랐구나." 는 식으로 부모가 끊임없이 자문자답처럼 언어 자극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많이 걱정되시면 한번쯤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부모와 아이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함께 할 수 있는 놀이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와 함께 하는 상황별 역할놀이를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병원 상황에서 하는 의사와 환자놀이, 음식점에서 하는 요리사와 손님 놀이, 학교에서 하는 선생님과 학생 등. 다양한 상황을 설정해 놓고 역할 놀이를 하면 아이와 대화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고 아이도 상황에 맞는 다양한 표현방법을 배우고 직접 말해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영어 동영상을 틀어주면 귀가 트이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어 영상을 자주 틀어주면 영어 리스닝에 많은 도움이 됩니나. 시간이 날때 마다 흘려듣기. 집중 듣기 방법으로 자주 들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과일만 먹는 아이 어떻게 바꿀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함께 밥먹기 전에 밥을 일정량을 먹으면 과일을 먹는다는 규칙을 정해 보세요. 처음에는 반공기부터 시작해서 밥량을 조금씩 늘려보세요. 정해진 밥을 다 먹지 않으면 절대 과일을 먹을수 없다고 사전에 약속을 하고 반드시 지킬 수 있게 부모님도 도와주세요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