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4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의 성격은 후천적인가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내성적이거나 외향적인 성향은 타고 나지만 성격은 후천적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면서도 바뀌게 됩니다. 밝고 긍정적이며 매사에 적극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님이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놀이
2024년 4월 11일 작성 됨
Q.
4살 아이 영화 싸우는 장면등 자극적인 영상이 두뇌 발달에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폭력전인 영상은 아이에게 강한 인상을 주게 되고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노출된다면 폭력성이 잠재되게 됩니다. 일회성 노출우 안본 것 보다는 좋지 않지만 크게 영향은 미치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싸우는 장면은 실제가 아니라 재미를 위해 가짜로 연기한다는 것을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해주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동생을 시기질투할 때, 어떻게 해야 둘 다 상처를 안받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큰 아이에게 스스로 잘 못하는 동생에 비해 스스로 잘 하는 첫째가 대견하고 자랑스럽다라는 식으로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 그래서 동생을 질투의 대상이 아니라 돌봐주어야 하는 돌봄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해 주세요. 그리고 동생의 보육에 동참을 시켜 주시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이유식을 먹는데, 조금이라도 식감이 이상하거나 질기면 뱉어서 걱정이에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싫어해서 자꾸 뱉어내는 이유식을 아이가 좋아하는 이유식에 섞어서 먹여주세요. 아이가 거부한다고 먹이지 않으면 특정재료나 식감에 대해 편식이 생기게 됩니다. 좋아하는 식재료와 섞어서 이유식을 만들어 조금씩 익숙하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1일 작성 됨
Q.
아들이 자꾸 손톱을 물어 뜯네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불안감이 크면 손톱을 물어뜯을 수 있습니다. 손톱을 물어뜯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갖는 경우가 있습니다. 복통또한 실제로 아플 수도 있지만 심리적 불안감의 표현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잘 관찰하시거나 아이와 대화를 통해 주변의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없는지 체크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10일 작성 됨
Q.
보통 아이가 말문이 트이는 시기가 생후 몇 개월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언어가 발달하는 속도나 모두 다릅니다. 만 10개월에 말문이 트이는 아이도 있는 반면 30개월 가까이 말을 못하다가 갑자기 말문이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10일 작성 됨
Q.
잘삐지는 안 좋은 습관을 가진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삐지는 것은 내가 원하는대로 해달라는 일종의 시위입니다. 부모가 달래주고 원하는 바를 들어주게 되면 아이는 삐지는 강도가 강해지고 횟수도 많아집니다. 삐졌을 때 아이에게 기분이 풀렸을 때 엄마와 이야기하러 오라고 이야기해 주고 기다립니다. 아이가 이야기를 들은 준비가 되었을 때 삐지면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시력 저하를 억제하는 좋은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책을 볼때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 시청을 줄이고 티비 시청 거리도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멀리 보았다가 가까운 곳을 보기를 반복하며 눈 운동을 해주면 좋습니다.
놀이
2024년 4월 9일 작성 됨
Q.
아이의 소근육, 대근육, 감각 등 신체발달을 위한 놀이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손을 많이 움직이게 하여 소근육을 발달시켜 주면 뇌의 발달에도 좋습니다. 색종이 접기, 레고 만들기, 클레이 만들기. 스티커 붙이기 등 손을 많이 움직이고 눈과 손의 협응이 잘 되게 하는 것이 뇌발달에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9일 작성 됨
Q.
성장호르몬 나오는 시간 정해져있는거 아니죠?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장호르몬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많이 분비되는 것이 맞습니다. 아이가 10시에 깊은 수면에 들게 하기 위해서는 한 시간전인 9시 즈음 잠을 자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찍 자고 많이 자는 아이가 키가 잘 큽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