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3월 25일 작성 됨
Q.
장애아들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은 어떤 교육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반복된 훈련을 통해 일상생활을 문제없이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정해진 시간에 스스로 일어나고 학교갈 준비를 하고 등교를 하는 생활패턴을 자기스스로 할 수 있도록 반복 훈련시켜 주셔야 합니다.
놀이
2024년 3월 25일 작성 됨
Q.
초등학교에 입학한 조카가 바지에 실수를 했는데, 아이에게 어떻게 말해주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다고 아이에게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수를 인정하고 앞으로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한다면 친구들도 본인도 실수는 잊게 되며 성공의 발판이 된다고 알려주세요
유아교육
2024년 3월 25일 작성 됨
Q.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영양 관리 전략은?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모든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가게 식단을 준비하시되 하루 한번 이상 고기류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 d 섭취가 중요한데 햇빛있는 곳에서 뛰어놀거나 약으로 섭취해주시면 좋습니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에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5일 작성 됨
Q.
어린이 키 성장을 위한 최적의 생활 습관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장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이므로 최소 밤 9시에는 잠자리에 들 수 있게 해주세요. 수영, 줄넘기, 농구와 같이 성장판에 자극을 주는 운동을 하고 기상후, 취침전 하루 두번 스트레칭을 해주시고 부모님은 아이가 자기 전 허벅지, 종아리 등 성장판자극 마사지를 해주시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4일 작성 됨
Q.
또래 아이들보다 말이 어눌한데 치료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치료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병원에서 전문가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의 판단에 의해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과잉으로 아이를 응대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이고 정확한 진단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 훈육은 몇개월 부터 하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훈육에 대한 생각을 바꾸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훈육은 아이를 혼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 바른행동과 잘못된 행동을 가르치고 하지말아야 할 이유와 바른 행동을 해야하는 이유를 가르쳐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른 습관을 들이기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이며 일관되게 가르치는것이므로 혼을 낸다는 훈육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3월 24일 작성 됨
Q.
감기 증상은 없는데 열은 39도까지 올라가는데 병원 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감기 증상 없는 열감기일 수 있습니다. 열이 39도 넘으면 위험하므로 해열제를 먹인 후 반드시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가 아닌 다른 원인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 데려가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4일 작성 됨
Q.
초2 남자 아이 책읽히는 법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보다 부모님이 함께 읽으면 좋습니다. 아이와 한 쪽씩 번갈아 읽거나 일정량을 읽고 부모님과 이야기 나누기 등의 독후 활동을 부모님과 함께 하면 아이는 책읽기를 좋아하게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단점 보완과 장점 극대화중 어떤게 먼저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겐 장점 극대화가 먼저 입니다. 장점만 찾아 칭찬해 주면 단점을 말하지 않아도 저절로 고쳐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와 함께 장점을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기가 원하는 게 안되면 우는 습관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고치죠?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일단 울면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고 원하는 것은 울지 않고 말로 해야한다는 것을 먼저 가르쳐 주세요. 그리고 앞으로 울면서 이야기하는 것은 들어줄 수 없다고 미리 약속하세요. 그리고 아이가 울거나 징징거리면 약속한 것을 상기시켜 준 후 절대 들어주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에게 울거나 징징거리지 않고 똑바로 말할 수 있을 때 이야기하라고 한 후 기다려줍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