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이진광 전문가
등단시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라마단 기간에는 물도 마시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 달간 진행되는 라마단 기간 동안 무슬림은 해가 뜰 때부터 해가 질 때까지 식사는 물론, 물을 비롯한 음료수를 마실 수 없으며 흡연도 금지된다.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순망치한이라는 고사성어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이고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사자성어)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서로 돕는 사이인 둘 중에 하나가 망하거나 불행해지면 다른 한쪽도 그렇게 된다는 뜻. 춘추시대 절친했던 우(虞)나라와 괵(虢)나라가 진(晉)나라의 이간 계책에 넘어가 서로 돌보지 않아 결국 둘 다 진(晉)나라의 공격으로 멸망한 일에서 유래.
미술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그림 모나리자는 어느시기에 창작되여 있는 그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대표작 중 하나로, 현재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가로 53cm, 세로 77cm짜리 유채(油彩) 패널화이며[1], 완성 시기는 1503~1506년경으로 추정된다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아이슬란드의 시작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산 폭발생성된 지 2천만년이 된 섬을 ‘어린’ 섬이라고 하기엔 뭔가 잘 가늠이 가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세계의 다른 지역들과 비교하면 아이슬란드는 정말로 그렇습니다.이 섬 전체는 문명이 생겨 나기 전 원시시대부터 수많은 해저 화산들의 분출로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아무도 언제 아이슬란드 땅에 사람이 도래 했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그저 지구상의 섬 중에서 아이슬란드에는 사람이 늦게 진출했을 정도라는 것만 알 뿐이죠.아이슬란드의 첫 정착민란드나우마복(Landnámabók) 또는 “정착민들의 책” 이라 불리는 이 책에 따르면 아이슬란드의 첫 정착민들은 아일랜드의 수도승들이라 합니다.
음악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실로폰의 음판이 길수록 낮은음이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때 실로폰에 있는 금속이 길이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소리의 파장이 짧아)하고 높은음을 냅니다. 반대로 길이가 길면 느리게 진동(소리의 파장이 길고)하고 낮은음을 내지요. (현악기도 같습니다) 그래서 소리의 속도가 일정할 때 파장과 진동수는 반비례한다는 것이지요.
음악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연극과 방송연기의 차이 첨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극은 무대에 있는 관중을 위해서 하는 것이고 방송연기는 카메라만 보고 관객없이 진행이 됩니다.무대는 극이 시작하면 배우가 끝날때까지 그극을 이끌어야 하짐나 영화나 드라마는 편집 재촬영 가능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김정호 선생님의 대동여지도가 정확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분은 여러 사람을 동원해서 직접 가서 본것을 그대로 그려서 축소를 했기 때문에 정확합니다.
철학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인문학과 철학의 차이점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학은 플라톤을, 인문학은 이소크라테스를 뿌리로 둔다. 전자는 주장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추구하는 로고스를 특징으로, 후자는 사람답게 살기 위해 필요한 교양을 강조한다. 역사적으로 철학과 인문학은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다가 미국을 중심으로 철학은 행정상의 이유로 인문학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두 분야는 여전히 다르며, 엄연히 다른 두 분야가 혼동되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우리 몫이다. 철학이 사람답게 살기 위해 필요한 고전 작품이나 영화 등을 감상하고 그 속에서 지혜를 배우고 나누는 정도의 활동으로 오해되기 때문이다. 이는 과학은 진리를 탐구하지만 철학은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오직 과학만이 진리를 탐구하는 특권을 가진 것처럼 오해하게 한다. 이는 명백히 오해이며, 이 오해는 과학과 철학의 이분화를 낳는 폐해의 근원이다.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수수께끼의 역사는 언제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수수께끼 모음은 1923년 덕흥서림에서 발행한 『무쌍주해신구문자집』인데, 이 책은 '부 파자 급 수수기'라는 부제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순수한 수수께끼집이 못 된다. 이 책에는 수수께끼 260개, 파자(破字) 105개, 총계 365개가 수록되어 있다.
역사
2023년 4월 14일 작성 됨
Q.
아메리카라는 이름은 어떻게 지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름의 유래 아메리카가 처음으로 대륙의 이름에 쓰인 것은 1507년이다. 독일인 지도 제작자 마르틴 발트제뮐러가 이탈리아인 탐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이름을 따서 지도를 만들면서 아메리카란 이름이 붙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