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베누 (Bennu)라는 소행성의 경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살펴보겠습니다.베누는 2135년에 지구와 달의 절반 거리밖에 안 되는 20만㎞ 이내로 근접해 지나갔으며, 이때 불확실성이 존재했습니다.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은 베누 주변을 돌며 탐사하고, 무선 신호를 보내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베누의 정확한 위치와 궤도를 파악했습니다.이를 토대로 베누의 미래 궤도를 분석한 결과, 2300년까지 지구 충돌 확률은 1천750분의 1로 산출되었습니다.가장 높은 충돌 확률이 있는 날은 2182년 9월 24일로, 충돌 확률은 0.037% (2700분의 1)입니다.베누가 지구와 충돌하면 공룡 대멸종 때와 같은 충격은 아니지만, 충돌구를 만들고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다행히 현재까지의 연구로는 지구 충돌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보이저호의 현재 위치는 어디쯤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보이저 1호는 2023년 1월 14일 기준으로 태양권을 벗어나 성간 우주에 진입한 상태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약 23,847,878,474 km (159.41 AU)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 거리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의 157배에 해당합니다.한편, 보이저 2호는 현재 약 234억8천만 km 밖에서 시속 6만1천 km로 성간 우주를 여행 중입니다. 이 두 우주선은 여전히 광막한 우주 공간을 유유히 탐사하고 있습니다.보이저 탐사선 형제들은 이미 태양권계를 벗어나서 지구와 태양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있으며, 꾸준히 우주 여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들의 모험은 정말 놀라운 일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빅뱅이 일어난 원인은 밝혀졌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빅뱅은 우주의 기원에 대한 가장 유력한 이론이지만, 빅뱅이 왜 일어났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제시된 가설들은 다음과 같습니다.양자역학적 진공의 불안정성: 양자역학에 따르면, 진공 상태에서도 진공 에너지가 존재합니다. 이 진공 에너지가 불안정해져서 우주를 생성하는 폭발이 일어났다는 가설입니다.빅뱅 이전의 상태: 빅뱅 이전에는 조그만한 점에 엄청난 에너지가 응축되어 있었다가 폭발했다고 보고됩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중 일부가 빛 형태로 발산되었고, 이 빛 광자가 빅뱅에 의한 엄청난 에너지로 인해 입자와 반입자로 쌍생성되면서 질량을 가진 입자가 탄생하고 그 입자들이 모여 원자가 탄생했습니다.빅뱅은 여전히 과학자들에게 많은 질문과 미스터리를 남겨두고 있으며, 더 많은 연구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알파센타우리 성계가 SF장르에서 많이 등장하던데 그럴만한 특정한 이유가 있나요? 실제로 생명체가 거주할만한 행성도 확인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알파 센타우리 성계는 과학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로 SF 장르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가까운 별계: 알파 센타우리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 중 하나입니다. 이 성계는 센타우루스자리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주계열성으로, 실제로는 3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 3중 항성계는 알파 센타우리 A, 알파 센타우리 B, 그리고 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행성 발견: 알파 센타우리 B에는 3개의 개스 행성이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5개의 암석형 행성도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행성들은 우리 지구의 태양계와 유사한 배열을 가지고 있어, 비슷한 이름으로 명명되었습니다.과학적 탐사: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와 같은 과학 프로그램은 알파 센타우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을 만한 행성을 찾기 위해 맞춤형 우주망원경을 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외계 행성 탐사와 우주 생명체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알파 센타우리는 우리에게 무한한 우주의 신비를 상상하게 하며, SF 작품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