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꿀벌 날개가 왜 털로 덮혀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의 날개가 털로 덮여 있는 이유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꿀벌의 날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날개 구조: 꿀벌은 네 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개는 앞쪽 날개이고, 두 개는 뒤쪽 날개입니다. 날개는 매우 얇고 투명한 구조를 가지며, 여러 개의 정맥이 흘러 있습니다. 이 정맥은 혈액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날개의 기능: 꿀벌은 날개를 비행하는 데 사용합니다. 날개를 통해 꽃에서 꿀을 수확하고, 둥지로 돌아가며 꿀을 저장합니다. 또한 날개를 이용해 둥지를 냉각합니다. 더운 날씨에는 둥지 입구에서 날개를 펴고 빠르게 공기를 휘날리며 냉기를 내부로 흡입합니다. 반대로 추운 날씨에는 날개를 빠르게 진동시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털의 역할: 꿀벌의 날개는 털로 덮여 있습니다. 이 털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털은 꿀벌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추위로부터 보호합니다. 털은 비나 이슬이 날개에 묻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털은 꿀벌이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바람이나 진동을 느끼는 데 도움을 줍니다.따라서, 꿀벌의 날개가 털로 덮여 있는 이유는 열 조절, 수분 제거, 감각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입니다
Q. Upf는 spf랑 pa랑은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UPF, SPF, 그리고 PA는 모두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각각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SPF (Sun Protection Factor): SPF는 선크림에 사용되는 지수입니다. UV-B 자외선을 얼마나 잘 차단해주는지를 표시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UV-B 차단 효과가 큽니다.PA (Protection Grade of UV-A): PA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지수입니다. UV-A 자외선을 얼마나 잘 차단해주는지를 표시합니다. PA+, PA++, PA+++ 등으로 표시되며, 숫자가 높을수록 UV-A 차단 효과가 큽니다.UPF (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UPF는 의류나 우산 등의 소재가 가지는 자외선 차단력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UV-A와 UV-B를 모두 막아줍니다. UPF 50+는 98% 이상 자외선을 차단해 준다는 의미입니다.따라서, 이 세 가지 지수는 각각 다른 자외선을 차단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화장품, 선크림, 의류 등에서 사용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 로켓 발사장의 입지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로켓 발사장의 입지 조건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아래는 주요한 입지 조건입니다.효율성: 발사 시에는 매우 강력한 엔진을 사용하므로 주변에 건물이나 인구가 적은 지역이 좋습니다. 발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안전성: 발사장은 안전한 지역에 위치해야 합니다. 발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하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합니다.기상 조건: 발사 시 기상 조건도 고려해야 합니다. 바람, 강우, 번개 등의 기상 요소가 발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역이 좋습니다.지리적 위치: 발사장은 넓은 물이 있는 지역이 좋습니다. 바다나 호수 등이 적합합니다. 발사 시 발사체의 안전한 궤도로 진입하기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따라서, 우주 로켓 발사장의 입지는 효율성, 안전성, 기상 조건,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Q. 평소궁금한건데 책만읽으면잠온다는게 과학적으로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책을 읽으면 잠이 오는 현상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이에 대한 과학적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뇌 활동과 에너지 소모: 책을 읽을 때 뇌는 많은 활동을 합니다. 글자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내용을 분석하고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이러한 뇌 활동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뇌의 좌뇌와 우뇌 활용: 책을 읽을 때 좌뇌와 우뇌가 다르게 활용됩니다. 좌뇌는 글자를 '소리’로 기억하고, 우뇌는 글자를 '이미지’로 기억합니다. 이 차이로 인해 책을 읽을 때 뇌는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됩니다.우뇌 활용을 통한 빠른 속독: 우뇌를 활용해 이미지로 기억하는 방식은 속독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미지로 기억하는 세포들은 좌뇌에서 글자에 대한 소리를 기억하는 세포에 비해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우뇌를 활용한 속독은 뇌를 활성화시켜 주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책을 읽으면 잠이 오는 이유는 뇌의 활동과 에너지 소모, 좌뇌와 우뇌의 차이, 그리고 우뇌 활용을 통한 속독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뉴스에나오는 우주쓰레기란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쓰레기는 지구 주위와 우주 공간에서 떠다니는 인공위성, 로켓 부속품, 우주선 부품 등을 말합니다. 이러한 쓰레기들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지름 10cm 이상인 것만 3만여 개, 1cm 이상은 90만 개 이상이 우주에서 떠다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주 쓰레기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충돌 위험: 우주 쓰레기들이 다른 위성이나 우주선과 충돌할 경우 치명적인 고장이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끔은 지상으로 떨어지기도 합니다.통신 및 위치 정보 서비스 마비: 우주 쓰레기들이 통신, 위치 정보 서비스, 금융, 인터넷 등 일상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우주 쓰레기 제거 연구: 다양한 방법으로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로봇팔, 그물, 자석, 작살 등을 사용해 수거하거나, 화학물질을 이용해 녹여 없애는 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우주 쓰레기와의 전쟁에 세계가 공동 대응하기 위해 인공위성에 궤도 사용료를 부과하자는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
Q. 코인채굴시 gpu가쓰이는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 채굴에서 그래픽 카드(GPU)가 사용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상화폐 채굴은 복잡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GPU는 CPU보다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그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GPU의 병렬 처리 능력: GPU는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산술 연산 처리 장치(ALU)를 내장하고 있어 병렬로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 때문에 복잡한 계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채굴에 필요한 연산량: 가상화폐 채굴은 블록체인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수학적 연산을 처리해야 합니다. GPU는 이러한 연산을 동시 다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채굴에 적합합니다.일반적으로 가정용 컴퓨터에 내장된 GPU 활용: 많은 개인용 컴퓨터가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가적으로 하드웨어를 구매하지 않고도 채굴에 필요한 추가 컴퓨팅 파워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GPU는 다른 채굴 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채굴에 적합합니다.따라서, 가상화폐 채굴에서 GPU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래픽 카드가 병렬 처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곤충류가 주향성(?)이라고하나요 빛의방향으로 날아가는 이유가 뭔가요? 왜 밤에 가로등밑으로 달려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들이 인공 조명 주위로 몰리는 이유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곤충들이 빛 아래로 날아가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빛 공해와 곤충의 행동: 일부 과학자들은 곤충이 단순히 빛에 끌리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빛의 따뜻함이 곤충을 끌어당긴다고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곤충의 비정상적인 비행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이로 인해 다른 가설이 나왔습니다.곤충들은 인공 불빛을 이용해 균형을 잡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기 때문에 몰려든다는 것이 가설입니다.배광반사 (Dorsal Light Response): 곤충은 너무 가벼워서 지면 반력을 이용해 몸을 원하는대로 가누기 힘듭니다. 또한 날고 있는 경우가 많아 어느 방향이 위쪽인지 알기 위해서는 또 다른 안정적인 원천이 필요합니다. 곤충은 광원을 등진 채로 광원 주위에 그려진 듯한 궤도로 돌고 있으며, 이는 배광반사 현상입니다. 이는 곤충이 자신의 시야 내에서 가장 밝은 물체를 향해 등을 돌린다는 현상입니다.광원을 기준으로 삼는 곤충: 인류가 인공 불빛을 발명하기 전까지는 밤에는 달과 별이 광원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곤충도 밤에는 광원을 기준으로 삼아 항상 광원을 머리 위쪽에 두려고 합니다. 이는 곤충이 광원 주위를 끝없이 돌게 만들어, 보통은 지평선과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도와줍니다.빛 공해의 영향: 인공 조명은 곤충의 감각에 혼란을 유발해 곤충이 현재 있는 위치를 스스로 인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곤충은 행동과 발달에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따라서, 곤충이 인공 조명 아래로 몰리는 이유는 배광반사 현상 때문이며, 이는 곤충이 광원을 기준으로 삼아 항상 광원을 머리 위쪽에 두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생명체의 발원지인 심해 열수구가 있는 행성을 탐사하면 먼 미래에라도 생명체가 탄생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 열수구는 생명의 기원에 관한 가설 중 현재 과학계에서 가장 유력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 가설은 1977년에 잠수함을 통한 바다 속의 해저열수구 탐사를 통해 제시되었습니다. 이곳은 생명의 기원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입니다.심해 열수구 주변에서 초기의 유기물들이 생성되었으며, 대부분의 화학적 진화가 이곳에서 축적된 유기물 층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 유기물 층에서 일어난 반응은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대사 활동과 유사했습니다. 이러한 생성물들은 초기 세포로 진화했을 것으로 이론적으로 추측됩니다.실제로 섭씨 100도가 넘는 해저 열수구에서는 고미생물인 초호열성 메탄 생성균이 살고 있어 생명 탄생설을 뒷받침합니다. 이러한 해저 열수구 주변의 독립영양 박테리아들이 열수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황성분을 영양분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초기 세포들도 이러한 물질들을 에너지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심해 열수구 탐사는 우리가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더 많은 발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행성 탐사는 여전히 많은 미지의 영역이며, 먼 미래에 생명체가 탄생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은 흥미로운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