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종이컵이나 컵라면 내부는 무엇으로 처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컵은 사실 플라스틱컵입니다. 일회용 종이컵 안쪽에는 반들반들하게 코팅이 되어 있는데요. 안쪽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폴리에틸렌 (PE)로 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사실 종이컵은 “종이 플라스틱” 컵이라고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바깥쪽은 일반적인 종이이지만, 내부에 물이 접촉하는 부분은 모두 플라스틱의 일종인 PE이기 때문이죠. 차가운 음료를 먹는 것은 괜찮지만 높은 온도의 음료나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는 경우 환경호르몬이나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폴리에틸렌 자체의 녹는점은 굉장히 높기 때문에 뜨거운 커피에 의해 녹지는 않습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안전한 종류 중에 하나이긴 합니다. 다만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에선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환경을 위해서, 몸을 위해서 텀블러를 들고 다니는 습관을 꼭 만들어야겠습니다. 8시간 업무를 하면서 5개 정도의 종이컵을 사용하여 물을 마시는데, 반성하고 있습니다.
Q. 다른나라 침공할때 육지와 바다중 어느곳이 더 침공이 어렵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아래에서 육지와 바다의 침공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육지 침공: 장점으로 육지는 인프라가 발달되어 있어 군대를 이동시키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병력과 무기를 숨길 수 있는 지형적 장점이 있습니다. 도시, 공장, 기지 등의 중요한 목표물이 육지에 위치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 적군은 육지에서 방어를 구축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지형적인 장애물이 침공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육지에서의 군사 작전은 예측 가능하고 느리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바다 침공: 장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적군의 방어를 우회하고 뒤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높은 기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으로 해상 상황은 불안정하며 날씨, 파도, 유류 등의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육지에서의 지원이 제한됩니다. 적군의 해상 방어 시설과 함대가 있을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육지와 바다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침공 전략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군사 작전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밖의 우주의 온도는 대략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온도는 매우 다양한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주 공간은 비어 있고 공기가 없다고 가정하며, 이는 평균 온도가 -270.45°C (또는 2.7K)임을 의미합니다. 이 온도는 흑체 온도 또는 플랑크 평형 온도로 알려져 있으며, 우주에서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온도입니다.그러나 우주에는 온도가 10°C를 초과할 수 있는 지역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은하, 블랙홀, 별의 중심과 같이 더 뜨거운 지역이 많이 있습니다. 이는 자외선과 적외선의 형태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온도는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달 위나 근처의 온도는 약간 더 높아 -0°C에 이릅니다. 궁극적으로, 공간의 온도는 -270.45°C에서 10°C까지 위치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Q. 현재 로봇 기술은 어느정도 발전했고 어느분야에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로봇 기술은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로봇 기술의 현재 상태와 주요 응용 분야에 대한 정보입니다.산업 자동화: 제조업, 물류, 창고 등에서 로봇이 사용됩니다. 조립, 운반, 검사, 용접, 도색 등의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로봇은 생산성 향상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의료 분야: 로봇은 수술, 진단, 재활, 의료 영상 등에서 사용됩니다. 정밀한 수술을 수행하거나 의사와 간호사를 보조합니다.농업 및 농업 자동화: 로봇은 작물 수확, 식물 관리, 농작업 등에 활용됩니다.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부의 노동 부담을 줄입니다.서비스 및 공공 분야: 로봇은 청소, 보안, 음식 배달, 공항 안내, 환자 돌봄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자율 주행차, 드론도 이에 포함됩니다.인공지능과 로봇의 융합: 로봇은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더 지능적으로 작동합니다. 자율 주행차, 음성 비서, 스마트 홈 기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2023년 세계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로봇 사용은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며,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인간과 로봇이 협력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일하는 시대가 기대됩니다.
Q. 드론의 발전이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작동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드론은 무인 항공기로,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무선 전파 유도에 의해 원격 조정이나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이 가능한 기체입니다. 드론은 다양한 종류와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고정익형 (Fixed-Wing): 추력 및 양력 발생장치가 분리되어 전진 방향으로 가속을 얻으면 고정된 날개에서 양력을 발생하여 비행합니다.회전익형 (Rotorcraft):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하여 비행합니다.프로펠러 회전의 반작용에 의해 본체가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드론은 앞 뒤 프로펠러의 회전을 반대로 하여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을 상쇄시킵니다.혼합형 (Hybrid):회전 날개를 기울일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수직 상태에서는 회전익의 헬기처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수평 상태에서는 고정익처럼 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드론은 카메라를 장착하여 다양한 각도의 생동감 있는 영상을 촬영하고 방송, 산업, 개인의 취미 활동 등에 활용되며,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