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태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식 전문가입니다.

이태식 전문가
일진전기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고압 전신주에서 우리가 정으로 일정하게 전기가 어떻게 들어오나요?
가정집으로 들어오는 전기는 흔히 보이는 전봇대에서 가정집으로 들어 오거나 요즘에는 지중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전봇대 또는 지중에서 고압 22900볼트라는 큰 전압이 옵니다.(송전됩니다)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220볼트입니다.큰 전압의 차이로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간에 변압기라는 설비를 사용하는데 전봇대를 쳐다보면 둥근 통같은 것이 변압기이고 지중으로 들어오는 경우는 길거리 인도블럭 옆에 보면 사각박스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이 변압기 입니다.이 변압기라는 설비를 통해서 22900볼트라는 특고압을 가정에 적합한 220볼트 전압으로 낮추에 안정적으로 공급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메가테스터기로 누전체크할때....
안녕하세요. 이태식 전문가입니다.ㅡ 전기는 차단해야 합니다.ㅡ 일반 가정집에서는 제품과 연결이 되어 있어도 관계는 없습니다. 테스트 결과 절연이 나쁘면 제품과 분리해서 절연이 좋지 않은 제품 또는 구간을 찾으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정기검사를 개인의원까지도 3년에서 2년 주기로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전기안정검사를 받기 위한 "의료기관"은 어디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태식 전문가입니다.의료기관의 정의 :의료기관”이란 의료인이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ㆍ조산의 업(이하 “의료업”이라 한다)을 하는 곳을 말한다.=>따라서 의료법에 의해서 운영이 되는 곳은 모두 의료기관으로 보면 됩니다. 그런데 다른 의료기관과 정기검사 주기가 다르거나 오랫동안 3년 주기로 받다가 왜 2년 주기로 변경이 되었는가? 이유는 아래에 있습니다.정기검사는 귀하께서 별표를 보셨듯이 "의료기관, 공연장, 호텔, 대규모 점포, 전통시장, 예식장, 지정 문화재, 단란주점, 유흥주점, 목욕장, 노래연습장에 설치한 고압 이상의 전기수용설비,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및 전기자동차 충전설비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고압 이상의 전기수용설비 인데 예전에는 저압으로 되어있다가 최근에 전기 수용 용량이 커져서 고압으로 변경이 되었으면 2년 주기에 해당합니다. 또는 용량이 늘어나서 전기안전관리 선임 대상이 되었는지도 확인을 해봐야합니다. 확인할 수 있는 가장좋은 방법은 전기안전공사로 전화하는 것입니다. (전화번호1588-7500)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에어컨을 킬때 차단기가 내려가는이유
안녕하세요. 이태식 전문가입니다.과전압은 규정보다 높은 전압을 말합니다. 예컨데 가정집 전압이 220V인데 측정하니 230V라면 과전압이라고 합니다. 일반인들은 과전압에는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과전류는 일정 전류 이상 흐를 때를 과전류라하는데 예컨데 가정집에 30A 차단기가 설치 되었는데 30A 보다 큰 전류가 흘러서 차단기가 내려가면 과전류가 흘렀다고 합니다. 따라서 차단기가 내려간다는 것은 차단기 보다 높은 전류가 흘렀기 때문인데 일반 가정집 기준으로는 30A 차단기를 더큰 용량 차단기로 교체는 것은 위험하니 결국 부하 즉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구를 분산해서 연결해야 합니다. 일반 가정집에는 차단기에 연결된 콘센트를 분산하기란 전문가가 아닌 이상 사실 어렵습니다. 따라서 에어컨이나 히타 같이 전기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할 때는 가급적 같은 시간 같은 콘센트에는 사용하지 않거나 에어컨만 단독으로 분전함에서 별도의 차단기 사용 또는 전류가 적은 전기기구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선 피복이 까졌을 때 보이는 내부선의 색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작이나 보수의 용이성 때문입니다.선풍기 예를 들면, 전원선 두가닥 바람의 세기 강ㆍ중ㆍ약(1단 2단 3단) 그리고 회전 등 이러한 기능이 있다고 가정할 때 선의 색상이 전부 동일한 색으로 하다면 일일히 찾아서 연결해야 하기에 많이 헛갈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색상이 있다면 검정색과 흰색은 전원, 노랑색은 강, 파란색은 중, 빨강은 약, 회전은 주황 ᆢ 작업도 쉽고 안전성도 용이 합니다. 참고로 수많은 통신선도 색상으로 표시합니다. 전선 같은 경우는 선에 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건전지를 사용 안해도 약이 닳아요..?
미세하지만 방전이 됩니다.대기 중에 음전자와 양전자가 존재합니다. 벼락을 치고 번개가 번쩍거리는 것도 대기 중에 떠돌아 다니는 양전자는 양전자끼리 많이 몰리고 음전자는 음전자끼리 많이 몰린 상태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양전자가 대지와 부딪히면 벼락을 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기 중에 배터리를 두면 배터리 양극에는 대기 중에 음극이 배터리 음극에는 대기중에 양극이 접촉해서 미세하지만 방전이 됩니다.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은 배터리 양ㆍ음극에 테이프를 붙여두면 그냥 두는 것 보다 방전이 덜 됩니다.배터리 자체의 내부 저항으로 인해서도 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를 소모시키기때문입니다. 이렇게 화학 반응과 내부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배터리를 그대로 방치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차례로 방전되는 것입니다. 더운 곳에 보관하는 것 보다는 냉장고에 넣어 두시면 방전이 덜됩니다.보관법은 전술한 것과 같이 배터리 음극과 양극에 테이프로 붙이고 시원한 곳 즉, 냉장 보관하면 좋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자전거는 한번 완충하게 되면 얼마나
전기자전거에서 소비하는 전력량과 배터리 용량을 알아야 답을 할 수 있습니다.소비하는 전력량이란, 대표적으로 자전거를 움직이게하는 모터의 용량과 라이트, USB 등에서 소비하는 용량을 말합니다. 보통은 모터 용량만으로 계산합니다.예컨데, 모터의 용량이 350W라고 하고 배터리가 36V 20A라면 일단 배터리 용량부터 계산합니다. 36x20=720W주행시간은 720÷350=약 2시간.따라서 2시간 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몸무게, 바람. 노면 사정, 경사도 등등에 따라 다릅니다.결론은 귀하의 자전거 모터 용량,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시고 위 공식에 대입하면 탈 수 있는 시간이 나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에어컨이랑 세탁기가 동시에 돌아가면 차단기가 내려가요.
가정집 분전함에는 보통 메인차단기 1개, 조명용 차단기 1개, 전열용 차단기 1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에어컨이랑 세탁기는 전열용 차단기에 연결이 되어있고 즉, 콘센트에 연결이 되어 있고 전력 소모량이 많은 에어컨과 같이 연결이 되어 있어서 전열용 차단기만 내려가는 겁니다. 해결 방법은 에어컨은 콘센트에 꼽지 마시고 분전함에서 별도 차단기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분전함에 여유 차단기가 없으면 별도로 설치 해야하는데 전기에 관한 지식이 없으면 직접 설치는 위험합니다. 달리 방법이 없으면 에어컨 사용 시는 가능하면 전력 소모가 많은 전기 기구는 사용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공사 천정 벽체 동일 전선색 확인방법 알려주세요.
ㅡ가정집에는 중성선이라기 보다는 접지선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ㅡ콘센트에 연결하는 기본이 아래 그림같습니다. 녹색이 연결된 곳이 접지선을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따라서 같은 색상이라도 콘센트 뒷부분에 녹색이 연결된 곳에 연결 된 전선이 접지선입니다. 이곳에 연결이 안되었다면 접지선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ㅡ문제는 천정 배선인데 천정 배선 6가닥을 따라가서 등기구 접지부분에 연결된 것이 접지선입니다. 혹 연결이 안되었으며 그냥 전선관 속으로 들어 갔다면 테스터로 찾아야하는데 이것은 전문가가 아니면 찾기 어렵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주파수가 다른 전자제품을 사용했을 때 영향?
주파수 50Hz와 60Hz의 차이는 임피던스(전압과 전류의 비) 때문에 부하에 열이나거나 속도가 달라지거나 시간이 달라지거나 등등 차이가 발생합니다.예컨대 모터의 경우 ‘초당회전수=120*주파수/극수’라는 공식에서 극수가 4극이라면 60Hz는 120*60/4=1800rpm 이고 50Hz에서는 120*50/4=1500rpm 이 됩니다. 결국 15% 정도 속도 차이가 납니다.용량성부하나 유도성 부하는 더 복잡한 공식에 주파수 대입하면 차이가 납니다. 복잡한 것은 생략하고,그렇다고 다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TV같은 것은 별로 영향이 없고, 전열기나 백열구는 열이 좀 더나고 덜나고 또는 밝기의 차이는 있지만 영향이 없습니다. 그러나 충전기같은 전기제품은 가열과 충전속도에 영향이 있습니다.따라서 구매하신 전기제품에 따라 정도가 다릅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