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 접종과 불안감 때문에 걱정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부스터샷 접종을 맞아야 하는지 궁금하시군요.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코로나 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스터샷 접종을 해도 돌파감염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률을 낮춰야 변이 바이러스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감사합니다.
Q. 3차 효과있나요? 의문이드네요 2차 중증으로 갈 확률이 줄어든다면서 3차 맞으면 더 확률이 줄어드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3차 접종 효과가 있는지 궁금하시군요.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코로나 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스터샷 접종을 해도 돌파감염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률을 낮춰야 변이 바이러스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추가접종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을 경우 지속적으로 접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Q. 코로나 백신은 안전하나? 성분은?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1. 코로나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는 면역반응에 의해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다만, 백신 접종 후 인과성이 밝혀지지 않은 이상반응이 보고되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2. 화이자 백신의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유효 성분(Active Ingredient)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의 스파이크 당단백질(S)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시드 변형 메신저RNA(modRNA)지질(Lipids)(4-하이드록시부틸)아자네디일)비스(헥산-6,1-디일)비스 (ALC-0315)(2- 헥실데카노에이트), 2-[(폴리에틸렌 글리콜)-2000]-N,N-디테트라데실아세트아미드 (ALC-0159)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SPC)콜레스테롤염분(Salts)염화칼륨제1인산칼륨염화나트륨제2인산나트륨 2수화물기타자당(sucrose)감사합니다.
Q. 코로나 백신 1,2차 부작용 후 부스터샷 문의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1, 2차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심장 두근거림이 심했는데 3차 접종을 맞아도 되는지 궁금하시군요.심장 두근거림 증상이 나타나고 호전되었다면 3차 접종을 맞아도 될 것으로 보이며, 혹시라도 접종 후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응급실 또는 종합병원에 방문해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코로나19는 왜 바이러스 변이가 빈번하게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가 왜 빈번히 발생하는지 궁금하시군요.바이러스 특성상 복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매우 쉽게 발생하며, 바이러스는 이러한 오류를 복구, 수선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변이가 더욱 쉽게 발생합니다.변이가 발생하여 생존에 유리한 종이 발견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변이는 전파력이 더 높아지며, 중증위험도의 경우에는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2차 접종을 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1차 접종 후 2차 접종을 아직 완료하지 못한 상황이군요.해당 경우에는 2차 접종을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완료하면 되며, 잔여백신 당일예약을 하거나 접종 가능한 병원에 전화하셔서 접종 가능 여부에 대해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2차 접종을 권장 간격보다 훨씬 늦게 맞는 것에 대한 임상이 따로 진행된 것은 없기 때문에 어떤 부작용이 있을지 알 수 없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접종을 늦게 해서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다만, 백신 접종 후 면역반응에 의해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은 나타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