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 혹은 치료제 부작용이 생각보다 많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백신, 치료제의 안정성에 대해서 확률로 표현을 하고 싶으시군요.다음은 백신 임상 승인 과정에서 제출된 자료입니다.2021.2.10.에 허가된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한국아스트라제네카코비드-19백신주)1)의 경우, 승인 과정에서 제출된 자료에 의하면,일반적으로 매우 흔하게(10% 이상) 나타난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압통, 멍, 온감, 발적, 피로, 두통, 근육통, 권태, 열감이었으며,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며칠 내에 소실됐습니다.* 영국(1·2상, 2·3상)·브라질(3상)·남아프리카공화국(1·2상) 등 4건의 임상시험에 18세 이상 대상자 총 2만 3,745명 평가(백신군 1만 2,021명, 대조군 1만 1,724명, 65세 이상 8.9%(2,109명) 포함)백신 투여 후 과민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반응과 코로나 증상 악화 등의 이상사례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아나필락시스 : 항원-항체 면역반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급격한 전신반응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도 약물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예측되거나 예측되지 않은 이상사례 발생률은 성인군과 비교했을 때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예측되는 이상사례: 성인(87.7%) vs 고령자(82.4%), 예측되지 않은 이상사례: 성인(39.2%) vs 고령자 (24.6%)1) 아스트라제네카社 코로나19 백신 품목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21.2.10(수)2021.3.5.에 허가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코미나티 주)의 경우2)일반적으로 흔하게* 나타난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발열, 피로, 오한, 두통, 근육통 등이었으며,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며칠 내에 회복되었습니다.* 흔하게 : 1% 이상 나타나는 이상사례백신 투여 후 약물 관련 과민반응(두드러기)은 1건 발생하였으며 약물 관련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임상시험 기간 중 보고되지 않았습니다.아울러 임상시험의 모든 등록대상자 4만 3,448명 중 백신군 0.6%(126명), 대조군 0.5%(111명)에서 ‘중대한 이상사례’가 보고됐으며, 이 중 백신 투여와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어깨부위 상처 등 4건으로 림프절병증*, 심실성부정맥은 회복되었고, 어깨부위상처, 요통/양측하지 통증은 회복중에 있습니다.* 어깨 부위 상처(백신 투여 관련), 림프절병증, 심실성 부정맥, 요통/양측하지 통증 각 1건** 림프절병증 : 림프절(면역반응이 일어나는 면역기관)의 비대로 인하여 생기는 병의 증상2)화이자社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 품목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21.3.5(금)2021.4.7.에 허가된 얀센 코로나19 백신(코비드-19백신 얀센주)의 경우3)일반적으로 매우 흔하게* 나타난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두통, 피로, 근육통 등이었으며,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2~3일 이내에 회복되었습니다.* 매우 흔하게 : 10% 이상 나타나는 이상사례아울러 임상시험의 모든 등록대상자 4만 3,783명 중 백신군 0.4%(83명), 대조군 0.4%(96명)에서 ‘중대한 이상사례’가 보고됐으며, 이 중 백신 투여와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상완신경근염 등 7건*이었으며, 임상시험 자료 제출시점에는 대부분 회복중이었습니다.* 길랑-바레 증후군, 심낭염, 상완신경근염, 접종 후 증후군, 과민반응(각 1건), 안면마비(2건)3)한국얀센社 '코비드-19백신 얀센주' 품목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21.4.7(수)2021.5.21.에 허가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모더나코비드-19백신주)의 경우4)흔하게* 나타난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피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오한, 메스꺼움/구토, 림프절병증, 발열, 주사부위 부종, 홍조 등이었으며, 증상은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백신 접종 후 며칠 내에 소실됐습니다.* 흔하게 : 1% 이상 나타나는 이상사례아울러 임상시험의 모든 등록대상자 3만 351명 중 백신군 1.0%(147명), 대조군 1.0%(153명)에서 ‘중대한 이상사례’가 보고되었고, 백신 투여와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얼굴 부종 등 9건이었으며, 임상시험 자료 제출시점에는 대부분 회복중이었습니다. 또한 얼굴 부종*은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반영하였습니다.* 오심, 구토, 류마티스관절염, 말초부종, 호흡곤란, B세포 소림프구성림프종, 자율신경계불균형 각 1건, 얼굴부종 2건** 얼굴부종 (facial swelling, 얼굴 부어오름) : 필러시술 경험이 있는 백신 투여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임상시험 자료 제출시 2건 모두 회복중이었음백신과의 연관성이 없다는 것은 백신 작용기전 상으로 인과성을 찾기 어려운 이상반응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 후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가 발생했는데, 탈모가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