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부스터샷 접종 부작용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모더나 1, 2차 백신 접종 후 현재까지 무기력함, 피곤함, 심장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는데 부스터샷 접종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시군요.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코로나 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스터샷 접종을 해도 돌파감염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률을 낮춰야 변이 바이러스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부스터샷 접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부스터샷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는 면역반응에 의해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질문자님께서 겪고 계신 이상반응과 비슷한 정도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 변종 관련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변이 바이러스의 종류, 차이점, 백신이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를 나타내는지 궁금하시군요.대표적인 변이 바이러스 종류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1. 알파형 - 최초 확인은 20.9에 영국에서 발견되었고 특성으로는 전파력이 1.5배 증가, 2차 감염률 증가, 입원 증가, 중증도&사망 위험도 증가 가능, 현재 백신으로 예방가능2. 베타형 - 20.5에 남아공에서 발견, 특성으로는 전파력 1.5배 증가, 병원내 사망위험도 증가 가능, 백신 효과 감소 가능하지만 중증 감염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지3. 감마형 - 20.11에 브라질에서 발견, 특성으로는 전파력이 약 2배 증가, 입원 증가 가능, 백신의 효과는 불분명함4. 델타형 - 20.10에 인도에서 발견, 특성으로는 알파형 변이에 대비 1.6배 높은 전파력, 2차 감염률 증가, 입원 증가, 백신 효과 감소 가능, 중증 감염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지5. 오미크론형 - 현재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파력은 델타변이에 비해 4배 높은 것으로 추정, 치명률과 백신의 효과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외에 람다형, 뮤형 등의 변이 바이러스가 있으며,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 대비 다른 형질을 보이거나 다른 형질을 유도할 수 있는 아미노산 변이를 가지고 있습니다.https://www.who.int/en/activities/tracking-SARS-CoV-2-variants/위의 사이트에서 WHO의 변이 바이러스 분류 체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교차접중 후 부스터샷은 어떤걸로 맞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1차 AZ백신, 2차 화이자 백신 접종 후 부스터샷은 어떠한 백신으로 접종을 해야 하는지 궁금하시군요.해당 경우에는 부스터샷으로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이 가능하며, 어떤 백신으로 접종해도 상관이 없습니다.1, 2차 백신과 관계없이 부스터샷으로 mRNA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항체 농도를 다시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에 따른 지침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