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의료상담
Q. 돌파감염, 변이로 인한 치명률 저하현상에도 백신을 맞아야하는이유?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높은데 확진자는 증가하고 있는 점에서 백신의 효과가 있는지 궁금하시군요.백신 접종 완료 후 시간이 지나면 항체 농도가 감소하여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다만,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면 항체를 형성하는 기억b세포가 체내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의 증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적습니다.추가 접종을 맞는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며, 감염 자체를 예방해야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1ㆍ2차 모더나 접종했는데 모더나 맞아야 되나여?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1, 2차 모더나 백신 접종 완료 후 2개월이 지났는데 부스터샷 접종이 가능한지 궁금하시군요.기존에 2차 접종 완료 후 적어도 5개월 뒤에 부스터샷 접종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3개월 뒤에 부스터샷 접종이 가능합니다.부스터샷으로 가급적 1, 2차 접종과 동일한 백신인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을 맞으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 백신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화이자, 모더나, 얀센, az백신 중 어떤 백신이 효과가 좋은지 궁금하시군요.기존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에 효과적인 백신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이었으며, 현재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예방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를 발표한 것은 화이자 백신입니다. 이외의 백신은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변이 바이러스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바이러스는 복제하는 과정에서 변이가 매우 쉽게 발생하며, 이러한 유전물질 변이 중 변이된 형질이 나타나는 변이 바이러스는 일부이며, 이 중 유전체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유전물질이 변이가 발생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즉, 유전체 검사를 하지 않을 경우 변이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없으며,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재도 알려지지 않은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