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백신중 현재 가장 인전하다고 생각되는 백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가장 안전한 백신이 궁금하시군요.한 사람에게 화이자, 모더나, az, 얀센 백신을 각각 투여하여 발생하는 이상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임상 실험이 없기 때문에 어떤 백신의 이상반응이 더 심각한지 알 수 없으며, 백신 접종 후 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증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즉,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효과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가급적 백신 접종을 맞는 것이 바람직합니다.감사합니다.
Q. 코로나 19에 감염된 임신부의 경우 어떤 조치가 취해지는지 궁금합니다. 뱃속에 태아에게 전염될 확률은 얼마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임산부는 자신과 아이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산소요구량이 최대 40%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궁의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의 장기를 눌러 폐 용적도 5% 감소합니다. 이러한 신체 변화로 인해 임산부가 코로나에 감염되면 중환자실 입원, 인공호흡기 치료 등 중증 치료를 해야 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출산이 임박한 감염된 임산부의 경우 이동형 음압기를 설치해 격리 수술실을 만들고 음압 이송 카트를 이용해 동선을 최소화하고, 의료진은 방호복을 입고 수술을 해야 합니다.다만, 현재 국내에 코로나 감염된 임산부를 위한 시설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부 병원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태아에게 전염되는 수직감염은 아직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며,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감사합니다.
Q. 코로나 2차 접종까지 완료 후 돌파감염 가능성 문의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2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에게서 돌파감염 가능성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돌파감염이 발생하는 원인은 2차 접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항체 농도가 감소하면서 코로나 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고 변이 바이러스 출몰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즉,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돌파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해도 반드시 개인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