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음악의 표절 여부는 어떻게 따져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표절 여부는 법원의 판단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8마디 정도가 같아야 표절이라고 인정을 합니다하지만 그것 뿐만이 아니라 느낌이나 분위기 사용하는 악기 등등멜로디만으로 파악을 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표절이다 아니다를확인하는건어렵다고 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음악도 유행하는 코드 진행이나 반주 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음악 역시도 유행을 따라서 돌고 돌아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하지만 아주 오래전 처럼 기본 코드로만 진행 되는경우는 많지 않고조금은 세련된 코드를 넣어서 하는경우도 많고 반주법 역시도 리듬이나 이런것도많이 변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창법을 익히는 것으로 음역대를 증가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일반인이 음역대를 높일수 있는 것이 훌련으로도 가능합니다.창법을 익히는것도 목소리를 훈련시키기 때문에 아주 힘들이지 않아도 가능하기 때문에천천히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1.3 외국은 2.4리듬을 따라간다하는데 무슨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에도 우리나라와 외국에 조금씩 대하는것이 다른데요재즈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음악에 리듬은 첫박에 강을 두는경우가 많습니다.가령 4/4박자는 강 약 중강 약 처럼첫박에 강함을 주지만외국 같은 경우는 두번째에 강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다 보니 그게 익숙하다 보니 말씀하신것 처럼 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가야금과 거문고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거문고와 가야금은 우리나라 악기로 많이 듣기는 하지만 비슷하게 생겨서 구별하기 힘든데요거문고는 6줄로 이루어져 있고 가야금은 12줄로 되어 있습니다.가야금은 손을 뜯어서 연주 하고거문고는 손으로 뜯거나 술대로 튕겨서 소리를 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장3도 단3도 증4도 이런건 어떻게 계산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음악 이론을 하기 위해서는 음정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그중에서도 말씀 하신는 장3도 단3도 구조를 알아야 하는데요장3도는 조금 쉽게 설명을 하자면 온음3개와 반음 2개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드리고 단3도는 온음2개 반음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블루스 스케일에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 같은 경우는 블루스 스케일은 재즈에서 많이 사용을 하는 스케일로마이너 펜타 토닉 스케일에서 플랫5 (b5) 를 추가하면 블루스 스케일이 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평균적인 오케스트라 공연에 들어가는 악기의 수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오케스트라 같은 경우는 규모나 크기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60 명에서 부터 많게는 120명 130 명까지도 구성이 되어 있기는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음악이 특정 감정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이 감정 전달 하는데 굉장히 효과적인 이유 중에 하나가 음악 특성을 결정하는 장조 단조를 잘 이용을 해서 사람의 심리를 잘 표현 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음악이 가지고 있는 매커니즘이 아닐까 싶습니다. 슬플 때 슬픈 음악을 들으면 오히려 치유가 되는 것처럼 마이너 음악을 작곡을 하게 되면 그런 것에 위로를 받기 때문에 그런 것이 음악에 가지고 있는 매력 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기술과 음악의 융합에 대하여 질문 문의..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참 어려운질문 같습니다. 기술과 음악 융합에 대한미래는 여러 가지로 나눠 질 것 같습니다. 우선은 인공지능으로 인해서 작곡이 쉬워 진다는 점에서는 굉장히 작곡을하거나 듣는 사람들에게는 힘든 부분들이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작곡한 노래나 음악을 들어 본 결과 아직까지는 어색한 느낌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바라 보는 것은 인공지능이 작곡한 곡이 그 상황 상황 맞게끔은 어느 정도 맞춰 주기 때문에 그것을 참고를 해서 작곡을 하거나 여러 가지 음악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점이 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작곡을 하는 분들은 이러한 작곡의 기술 없이 무작정 찍어내는 듯한 음악은 음악으로 치부 하지 않는 듯한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아직까지는 더 시간이 지나야지 될 것 같습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