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음악
음악 이미지
Q.  악보를 외우는것은 몸이 기억하는건가요 아니면 머리가 기억하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연주를 많이 안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는 악보를 보면서 외우는 경우가 많은데요자주 연주를 하고 연습을 하다 보면 그 흐름을 따라가면 자연스럽게 내가 나도 모르게 손이 따라가는경우가 많이 있고 강약은 물론 빠르기 까지도 충분히 연주가 가능합니다.연습후 자연스러운게 맞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악에서 소리를 내지 않고 쉬는 행위는 왜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내용 같은 경우는 숨표와 쉼표가 다릅니다. 숨표 같은 경우는 노래를 할 때 숨을 참을 라는 뜻으로 생겼고 쉼표는 숨을 참기 보다는 그 음악을 잠시 쉬어 가라는 뜻으로 표기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쉬거나 참거나 하는 이유는 그 음악에 완성도를 조금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표가 사 분의 일 박자일때 이것을 무엇이라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박자에 대해서 물어 보시는것 같습니다.박자라는것은 그 음악에 대해서 한마디에 어떤 음표가얼마나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것 입니다.가령 4/4 박자일 경우에 4분은 4분음표를 말하는것이고 위에 4는 한 마디에 4개가 들어가 있다는 뜻 힙니다.그러면 3/4 사분의삼박자라고 읽어야 하고4분음표가 한마디 안에 3개 들어 있다라고 이해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그리고 마지막으로 2/4는 사분의 이박자라고 읽어야 하고4분음표가 한마디 안에 2개가 들어 있다. 이러한 뜻 입니다.그리고 6/8 이런 박자도 있는데요 팔분의육박자라고 읽어야 하고8분음표가 한마디에 6개 들어 있다 생각 하시면 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리코더는 왜 음이 길게 나는 악기라고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리코더 같은경우는 아마도 조카분이 잘못이해를 한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리코더는 피리 즉 음을 길게 나게 하는것 보다는악기의 길이가 길어서나는것이라는것을리코더라고 이야기 하는것을 말하는것 같습니다.워낙 오래된 악기다 보니 기록들이 자세하게 나와 있지는 않지만 대략 1300년대에도 존재 햇을만큼 오래된 악기 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솔라시도 중에 가장 낮은 의미 소리라는데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일반 사람들은 계이름을 도레미파솔라시도 라고 해서계이름이 도 부터 시작을 해서 고정관념이 생기는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계이름은 그렇게 하지만영어로 하게 되면 C D E F G A B 이렇게 도레미파솔라시도가 됩니다. 즉 도는 처음 음이 아닌게 되는것 입니다.계이름으로 한다고 하면 라시도레미파솔라 처럼 순서가 그렇게 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클래식음악 작품번호 앞의 알파벳은?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네 말씀 하신것 처럼 바흐 작품번호는 앞에 BWV를 붙히고 모차르트는 K(쾨헬) 이라고 불립니다.그리고 바흐 작품번호 중에서 BWV 다음에 Anh 이렇게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정확하지 않을수 있다라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그리고 다른 작곡가들은슈베르트 입니다. D(도이치)로 표현 합니다.그리고 하이든은 Hob(호보켄)이라고 씁니다.헨델은 HWV, 비발디 RV 등이 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페누토가 라는게 있던데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표 위에나 아래에 보면 - 표시로 되어 있는 것이 테누토로 이에 해당되는 음표대로 연주하는것 보다 조금은 충분하게 연주하라ㅇ는 뜻입니다.그렇게 때문에 그 박자 안에서 연주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악에서 스타카토라는 용어가 있던데요 이건 어디에 쓰이는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 용어 중에 스타카토 라는 용어는 우리가 악보를 볼 때 여러 가지 음표들이 있는데요. 그 음표들이 높고 낮음 그리고 세게 약하게 것들을 표현 하는 것도 있지만그 음 자체를 절반으로 줄여서 연주를 하라는 뜻입니다. 4분 음표를 연주를 한다고 하면 8분음표로 연주를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작곡은 어릴때하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직곡을 하신다고 하면 기본 적인 음악 이론은 마스터를 하셔야 되고 화음에 대한 이해 그리고 멜로디 음정 등등 여러 가지 것들을 고려해야 되는 상황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재능이 있어서 그런 것을 따로 배우지 않고 독학으로 하셔도 되겠지만 그러지 않는 경우라고 하시면  작곡 전공을 하시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론을 배우지 않더라도 수많은 음악들을 들으면서 자기만의 취향과 스타일을 만드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고 나서 어느 정도 작곡에 대한 이해가 생기면 조그만한 노래부터 실전을 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령 여덟 마디 동요부터 해서 점점 늘려 가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공부를 할때 들으면 좋은 음악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악을 들으면 굉장히 집중력이 좋아지는 것은 연구 결과로 많이 발표를 하였습니다. 우선은 시끄럽고 흥겨운 음악 보다는 차분하게 깔리는 음악이 좋으며 목소리 보다는 목소리가 없는 백색소음 클래식 악기 연주 등으로 듣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모짜르트 음악을 틀어놓고 하는 경우가 집중력이 좋아지는 것 같았습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