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요즈음 회사에 출퇴근 할 때 유튜브에서 '나는 반딧불'이라는 노래를 많이 듣습니다. 이 곡의 원곡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나는 반딧불이라는 노래는 정말 요즘에 들으면 감동이 되고 힘이 되는 노래중에 하나 입니다.이 나는 반딧불이 노래의 원곡자는인디 밴드에서 먼저 불렀으며 '중식이' 라는 그룹이 2020년에 처음 불렀습니다.그리고 2024년도에 황가람이 다시 리메이크를 해서 사랑을 받아서 역주행을 하는 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저도 많이 듣기도 하지만 수능생들이나 혹은 취업에 힘든 사람들에게 도움이나 기운을 주는곡으로 널러 퍼져 있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한국의 전통 악기 중 하나인 가야금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가야금 같은 경우는 다른 악기들이 비해서 생각보다 부드럽거나 맑은 음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다른 음악에 비해서 서정적이고 우아한 느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가야금은 요즘 좋은 음악과 톤을 느끼고 싶은 경우 많이 현대 음악에서도 사용 됩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무대에서 연주하는 사람들 드레스는 개인껀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무대에서 연주하는 사람들의 드레스는 연주를 많이 하는 경우에는 개인 드레스를 입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그렇지 않고 하는경우는 대여를 해서 입는경우도 많습니다.자주 무대에서 연주를 하는 사람 같은경우는 개인 드레스를 가지고 입는 경우가대부분 입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다성음악과 호모포니는 어떤 차이를 가지며 어떻게 감상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다성 음악 같은 경우는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되어서 성적으로 연주를 하는 것을 말하며 호모 포니 같은 경우는 기본 적인 멜로디는 있고화성이가 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미분음 음악 이란 무엇이며 서양 음악과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사실말씀하신 미분음악같은 경우는 우리가 흔히 아는 12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조금은 세분화 시켜서 음악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기본 적인 화성에서 조금만 벗어난 듯한 그리고 새롭게 표현이 되는 듯한 느낌을 주기일반적인 서양 음악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고 중동이나 인도 같은 데서 많이 사용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에는 현대음악에서도 많이 접목 시켜서 작곡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블루스나 재즈에서도 활용 하고 있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란 무엇이며 음악에서 어떻게 활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산은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베이스 음을 그대로 연주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베이스는 그대로 두고 그 베이스에 맞는마이너 코드를 가지고 와서즉흥 연주 나 그리고 새로운 느낌을 주기 위해서 많이 활용을 합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미래의 인공지능이 작곡한 음악이 인간이 만든 음악과 확연히 구별된다면 그건 감정선 때문이지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미리 인공지능이 작곡한 음악 같은 경우는 지금도 많이 작곡이 되고 있는 음악들이 있습니다 그런 음악 들을 들어 보면 생각보다 좋은 노래인 것 같기는 하지만 뭔가 하나씩 안 빠져 있는 듯한 그런 느낌 입니다 그게 어떻게 보면 감정선 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다음 적으로는 맞지만 화음이 제대로 찍지 않는 듯한 그런 느낌이 많이 보이는 거 같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만약 사람이 청각이 아닌 촉각으로 음악을 감상해야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음악을 표현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촉각으로 음악을 감상한다고 하면 아무래도 소리의 진동으로 모든것을 느껴서 듣는것이 될것 같습니다.베토밴 역시도 청력을 읽어 가면서도 음악을 작곡을 할수 있었던것도어쩌면 말씀하신 질문처럼 여러가지 리듬을 진동으로 느끼면서 작곡을 햇을수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우리가 큰소리는 팀파니 같은경우는 진동의 파장이굉장이 길로 잔향이 많이 남기 때문에그런것 까지 계산을 해서 작곡을 하였을 가능성도 있구요..바이올린이듯 첼로등등이 그런것과도 비슷하게 해서 작곡을 하엿을거라 생각 합니다.
음악
2025년 2월 7일 작성 됨
Q.
과거에도 악기가 있었을 것 같은데, 오늘날까지 완전히 복원되지 않은 악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악기들은 그 형태를 비슷하게 유지를 하거나 하는것으로 발전을 하고 개량이 되는것으로 살아 남아 있는것이 대부분 입니다.하지만 기록으로만 남아 있는것들이 몇가지가 있기는 한데요에트루리아 리라 라는 현악기가 있는데 워낙 그림으로만 남아 있는것이라고 복원 하기가 어려운것이 있습니다.그 외에도 은하프나 물 오르간 같은것도 존재 하기는 하지만 대부분 문서 형태로 알려져서복원을 하더라도 소리를 내는것이 쉽지가 않은것이 사실입니다.
음악
2025년 2월 6일 작성 됨
Q.
음악 악기중에 하프라고 하는 음악악기가 있는데 하프는 언제 만들어진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하프 같은 경우는 굉장히 우리 인류가 제일 먼저 악기처럼 연주하던 악기 중에 하나입니다 기원전 3000년 전부터 사용을 해왔던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으며 이집트에서 시작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이런 하프 형태를 갖춘 것은 19 세기 이후에 부터시작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