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이형민 전문가
영남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콘트리트 타설이 주의해야할 사항이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콘트리트를 타설할때 중요한것은 이게 강도가 나와야 됩니다. 따라서 혼합을 할때 비율을 잘 맞춰 주셔야 되겟습니다. 따라서 장마기간에는 공사를 꼭 피해서 하셔야 되겠습니다. 또한 강도가 나올 수 있도록 양생관리를 철저하게 해주시지 않으면 부실공사가 될 수 있으니 모든것을 감안해서 진행해주세요
토목공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3D프리팅으로 건축물을 짖을수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현재 기술로 3D 프린팅으로 건출물을 지을수는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할 정도의 강도가 나올지도 의문이며 생각보다 3D 프린틍으로 물건을 프린팅할때 드는 비용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기술이 발전하면 할 수록 이런 기술들이 발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강우량과 강수량의 차이점인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강우량의 경우에는 비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라고 합니다. 하지만 강수량의 경우에는 비 이외에도 눈, 진누깨비, 우박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해서 표헌하는것이라고 합니다. 일정시간동안 내리는 양을 수치화 하는것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왕기초 영어공부 혼자 독학으로 할 수 있는법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요즘에는 영어 공부를 위한 책들이 아주 많이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왕초보들을 위한 교재들도 많이 나와있습니다. 처음부터 하기 위해서는 초보자를 위한 영어 패턴들을 기억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단어 공부는 매일 해주시고 영어 듣기 공부도 소홀히 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초고층 빌딩의 경우 이론상 몇층까지 높아질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초고층 빌등의 경우 이론상으로 약 100층정도 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것과 같이 이론상의 높이입니다. 따라서 이 높이를 지을 경우에 무너질수도 있고 요즘같이 비가 많이 오는경우에 공기가 길어질 수도 있는 변수들이 많을것으로 보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부실공사가 심한지 신축건물에 비올때 누수가 많은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요즘에는 말씀하신대로 부실공사가 아주 문제가 많이 되고 있습니다. 누수가 신축건물에서 생긴다면 이는 부실공사가 맞습니다. 따라서 빠르게 누구 부위를 찾아서 하자 신청을 해주셔야 빠르게 조치를 받을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아주 중요합니다 빠르게 해야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이 왜 장마철에 중요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요즘에는 예전과 다르게 비가 언제올 지 예측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강수량 자체도 생각보다 많아져서 지하차도가 잠기는 경우가 아주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올 경우에는 지하차도를 통제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최근에 지하차도 침수로 인해서 많이 다치고 죽는 경우게 많았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지하차도는 어떤식으로 공사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지하 차도의 경우에는 먼저 아래지역을 잘 파내야 됩니다. 이를 설계를 잘해야 파낼때 무너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조금씩 파내면서 지지대를 설치해서 그렇게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는 생각보다 공간활용을 잘 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비가 많이 올때 고속도로나 전용도로가 움푹패이는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도로의 경우에는 아스팔트를 깔아서 구성을 합니다. 하지만 아스팔트의 경우에도 내구성이 조금 높다 뿐이지 영구적이진 않습니다. 아스팔트고 충격을 받으면서 조금은 파손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틈으로 물이 들어가고 눈이 들어가고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기 때문에 서서히 파괴된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조립식 주택은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조립식 주택의 경우에는 장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조립식 주택의 최대 장점은 시공시간이 아주 적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곳에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단점의 경우에는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슷한 모양으로 하고 기능성이 쫌 떨어진다고 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