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이혜수 전문가
시몬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이산화 탄소 포집기인 매머드라는것이 가동된다던데요
안녕하세요 아이슬란드에 설치된 매머드 플랜트는 연간 4,000톤의 이산화탄소를 모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 향후 기술 발전으로 포집량과 효율이 좀 더 높아지게 된다면 도시 대기 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아직은 단순히 실증하는 단계라 보는게 정확하겠습니다.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쓰레기 매립이 힘들어 지면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친환경 소각로 증설로 소각 처리량을 늘려 어떻게든 소각을 하거나 막대한 비용을 들여 쓰레기 매립 가능지역이 남아있는 국가로 수출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정수기에서 수도물에 포함된 마약성분(필로폰)이 걸러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수돗물에서도 마약 성분이 검출되곤 하는데요 하수처리장에서도 걸러내지 못한 마약 성분을 집 정수기 필터가 걸러줄지는 의문이네요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하수처리장의 폐물은 어떻게 정화되나요?
안녕하세요폐수는 크게 1, 2, 3차 처리로 나뉘는데요1차는 큰 부유물과 무거운 입자, 그리고 유기물과 부유물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입니다2차는 미생물과 생물학적 처리 후 물 속에 남아있는 미생물과 부유물을 제거합니다3차는 화학적으로 인, 질소 등의 영양소를 제거하고 미세한 입자를 제거합니다
화학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동위원소는 무엇을 말하는 것이나요?
안녕하세요 동위원소는 같은 원소의 원자들이지만 원자핵 안의 중성자 수가 달라서 질량의 수가 다른 원자들을 뜻합니다.방사능을 띠지 않는 안전 동위원소와 방사성을 띠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있는데 안전 동위원소는 C-12와 O-16이 있고, 방사성 동위원소는 C-14, U-238 등이 있습니다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천연재료 이면서 환경에 유해한데 , 가공하여 비료로 사용할 만한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어류 가공 산업에서 나오는 어류 폐기물인 생선 머리, 뼈, 내장 등등은 질소, 인,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가있는데 이런 폐기물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어분을 만들어 낸다면 질소 비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지구온난화를 예방하기 위한 개인의 실천 과제
안녕하세요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개인의 노력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빼놓으면 대기 전력이 줄어듭니다친환경 소재 제품을 사용합니다샤워 시간을 1분만 줄여도 연간 140그루의 나무가 아껴집니다
화학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화학식으로 계산 한다. 그러면 물에서 수소를 뽑아 낼 수 있는데 왜 상용화가 되지 않을 건가요?
안녕하세요 수소가 아직 상용화하지 못하는 이유 중에 가장 큰 이유는 기술력 부족과 경제적으로 얻는 이점이 크지 않다는 점인데요 수소 차를 예를 들어보면 수소를 생산하더라도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동하는 것은 많은 기술력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저장 방식을 700기압으로 엄청난 고압으로 하느냐, 액화로 하느냐 선택하는 것도 문제이며 저장을 한다고 해도 수소차 충전소에 어떤 식으로 가져다 주는 지에도 엄청난 문제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적으로 많은 이점을 얻지 못하고 있고요
환경·에너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면서 얻는 효과는?
안녕하세요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함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들었고 재활용품 배출량도 크게 늘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경제적으로 최소 20조~30조원 정도의 경제적 이득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환경적으로는 매립지 사용기간 연장 등으로 인해 국토이용의 효율성이 높아졌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고체전해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필요한 고분자, 세라믹 재료, 리튬, 염 등의 원료를 준비하고 원료를 적합한 용매나 혼합 장치를 사용해 균일하게 혼합합니다. 그 다음 혼합된 원료로 원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형성된 재료를 가공하면 고체 전해질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