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임경희 전문가
규호측량토목설계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낯가림이 너무 심해서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하는 아이 괜찮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낯가림이 심하다면 부모님과 함께 다양한 체험활동 및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많은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외부활동 및 운동 등을 하는것도 낯가림을 줄이는데 효과가도 있습니다.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장난감 정리를 잘 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장난감을 잘 정리하지 않는다면 부모님과 함께 칭찬을 많이 해주고 게임하면서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아이가 정리를 잘 하면 칭찬스티커를 붙여 보상으로 용돈을 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형제가 싸울 때 누구 편도 못 들어주었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공정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다투는 경우는 성격과 생각의 차이로 괴리가 생겨 다투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구의 편도 들어주지 마시고 중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 각자의 입장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주시고, 상대방과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서로에 대한 공감하고 이해하고 배려하는 능력을 향상될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질문을 너무 많이 해서 피곤한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질문을 많이 하는 아이들은 궁금하고 호기심이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질문을 하게 되면 다시 그 질문을 되물어서 아이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호기심으로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인터넷이나 책으로 찾아보면서 부모님과 함께 이야기 나누는 것도 아이의 지식과 생각을 키워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아이가 싫어, 안해 라는 말하는 아이 반항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어렸을때는 부모의 말에 순응적이었다면 초등학교 2학년 정도가 되면 반항기보다는 사회성은 물론이고 자기 생각에 대한 관점이 생기기 때문에 싫어, 안해라는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부모님도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존중해주고 인정해 주는 자세도 필요해 보입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