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화성암. 퇴적암은 각각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화성암은 화산활동이나 마그마가 식고 굳으면서 고체화되어 형성된 암석입니다. 지구의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으로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성암은 규산 함량에 따라서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으로 분류되며 규산이 많을수록 암석 색은 밝아지고 규산이 적을수록 색이 어두워집니다. 그리고 화성암은 풍화하여 퇴적암의 재료가 되기도 합니다. 퇴적암은 다른 암석이 풍화와 침식으로 생긴 퇴적물과 입자들이 오랜시간 동안 압축고 결합하여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물질이 위데 덮이면서 아래의 토적물은 압축되어 단단한 암석으로 굳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모래, 진흙, 석회 등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성과정 중 퇴적물의 퇴적 상태에 따라 층구조가 뚜렷하여 지형변화, 기후조건, 고대 생물의 흔적을 발견하게 됩니다. 또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으로 형성되었기에 화석 등 생물학적 유물이 발견되어 환경과 지질학적 생태계 변화화를 연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생1,2 화학1 교과서 추천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교과과정이 개정되면서 출판사 선택도 참고해야 합니다. 화학1, 생명과학1,2의 경우 미래엔, 비상교육, 천재교과서, 동아출판, 지학사에서 나오는 교과서를 많이 보고 있지만 그 중에 개념을 정리하려면 지학사와 동아출판, 심화학습을 원한다면 동아출판 교과서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