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물 내진설계에 등급들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는 등급에 따라 건물의 강도가 다르게 설정하고 있습니다.내진 1등급은 최고 수준의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병원, 소방서, 경찰서, 정부청사 등 주요 공공건물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7.0 이상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내진 2등급은 중요 시설로 높은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학교, 대형 상업시설, 고층 아파트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6.0~7.0을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내진3등급은 일반적으로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중소형 상업시설, 일반 주거시설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5.0~6.0을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내진4등급은 최소 내진 성능을 요규하는 등급으로 소규모 건물, 창고 등 비주거 건축물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5.0 이하를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지대가 아니어서 6.0 이상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Q. 공사를 짓기 전 토목 공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건물을 짓기 전 토목의 기초공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토목공사에 필요한 장비는 공사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드론, 레벨, GPS측량, 굴삭기, 덤프트럭, 불도저, 크레인 등 의 중장비와 BIM과 IoP센서의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여 공사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그리고 공사할때 정확한 위치 및 계획고를 반영하기 위해 GPS측량(드론) 및 레벨 측량이 이루어지며 중장비를 이용해 토공작업으로 기초공사와 우오수 공사, 구조물 공사를 마무리하게 됩니다. 추후 건물이 마무리 되면 포장공사 등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공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 직무 스트레스 해소 방안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사회복지사들이 직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직무를 분담하고 직무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정기적으로 받음으로써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것 뿐만아니라 스트레스도 함께 줄일 수 있어요. 그리고 기관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정신건강 상감서비스 및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무시간, 야간근무, 환경개선 등을 통해 사회복지사가 편안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합니다.그 외 동료간의 소통의 장을 지원하는 등 사회복지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기관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