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력에너지도 종류가 있는데 가장 효율적인것은 어느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수력에너지의 종류는 대형 수력발전(댐을 건설), 중형 수력발전(보통 1MW~10MW 사이), 소형수력발전(보통 1MW 이하), 초소형 수력 발전(보통 100kW 이하)으로 구분되어 있어요.-대형수력발전소는 대규모 댐을 건설하여 물을저장하여 운동에저니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전체 수력발전 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수력발전 방식이에요. (우리나라는 대표적으로 소양감댐)수력발전소는 설치할 지역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맞춰 적절한 유형에 맞게 설치를 하고 있어요.수력에너지는 우리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인데요.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크죠.장점으로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자원이 고갈되지 안아요.환경 친화적으로며 댐을 통해 물을 저장하고 있기에 수요에 따라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어 신뢰성있는 에너지 공급원이에요. 다목적 활용으로 물공급, 관광, 레크레이션, 농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요.
Q. 기후 변화와 관련된 최신 동향을 쉽게 알 수 있는 자료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에 관심이 많아 다양한 연구와 논문, 학술자료 등이 많은데요.학술논문을 보면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설 극한 한파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산업 연관관계를 통한 기후변화 전환리스크의 파급영향, 국내 방재학 연구동향의 계량정보학적 분석, 기후변화가 다목적댐 수력발전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해양 기후기술 연구 동향 및 기술 수준조사 등으로 학술논문이 많은데 몇가지 올려봅니다.
Q. 우리나라 지열에 대한 에너지 비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지열에너지는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변호나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로써 지하 열에너지(평균 15도)를 건물 냉.난방에 활용하는 방식인데요.지열에너지는 자체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아직은 비율이 높지 않아요.참고로 작년 서울시 자료 올려드립니다. 참고하세요.2023년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은 태양광 392MW(37.3%), 지열 278MW(26.4%), 연료전지 195MW(18.5%), 수열 82MW(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