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항공유 SAF원료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효과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지속가능한 항공유(SAF)는 화석연료 대신 바이오 기반 원료를 생산되는 친환경 바이오 항공유에요.*지속가능한 항공유(SAF) 원료는 폐식용유, 폐동식물유, 동물성 유지류, 농업폐기물, 바이오매스, 사탕수수 등이며, 세계적으로 가장 먼저 상업화 된것은 폐식용류에요.(폐식용류를 수거하여 정제하고 수소와 반응시킴)*한국 정유사들도 SAF 기술 개발에 착수하였고 HD현대오일뱅크는 SAF 개발에 성공하여 일본 항공사에 수출하고 있어요. 에쓰오일은 바이오원료를 정유 공정에 투입하기 시작하였고 SK이노베이션도 지속가능한 항공유(SAF)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참고로 대한항공의 경우 HD현대오일뱅크과 지속가능한 항공유(SAF) 계약을 체결하였어요.* 미래 항공유로 각광 받고 있는 지속가능한 항공유(SAF) 시장은 28조라고 해요.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 모든 선직국 국제민간 항공기구에 가입되어 있어 2027년 의무화를 선언했어요. 2050년 전세계 항공유의 80%를 지속가능한 항공유(SAF)로 대체할 것이라고 해요.전세계가 탄소중립을 위해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량을 늘리고 있어요.유럽연합은 내년부터 역내 공항에서 탄소 배출을 대폭 줄이기 위해 지속가능항공유(SAF)를 2% 혼합하여 쓰도록 의무화 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2030년 6%, 2040년 32%, 2050년 70%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해요.싱가포르는 2026년부터 지속가능항공유(SAF) 1% 이상 의무화하고 승객에게 부담금 징수하며 2030년까지 3~5% 섞는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에요.우리나라를 경유하는 각국 항공기의 경우 공항에서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파급은 크다고 해요.
전기기사·기능사
Q. 전기 일하는 사람들은 예전부터 박봉이라고 하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전기 자격증은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술사로 구분되고 있어요.자격증에 따라 연봉이 차이가 나죠.특히 어느 분야에서 일하는지, 어느 기업인지 등에 따라 급여 차이가 많이나요.무조건 박봉은 아니구요. 소규모 기업보다 대기업의 연봉이 더 좋은것이라고 생각하면 좋겠네요.(전기기사를 기준으로 초봉이 보통 3,500~6,000만원 정도)옛날에는 전기 현장직이 많아서 일은 힘들고 급여는 적다는 말이 있었는데요.전기는 기술직이기 때문에 괜찮은 연봉과 나이 많아도 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에요.
전기기사·기능사
Q. 무선설비기사는 어떻게 취득을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무선설비기사는 2009년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되어 오다가 2010년부터 KCA국가기술자격검정(한국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격증이에요.(자세한 사항은 KCA국가기술자격검정 홈페이지 참조)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무선설비기사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아요.1.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2.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3.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5.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6.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7.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8.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9.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10.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무선설비기사 응시자격이 있다면 필기와 실기시험으로 나뉘어요.연 4회 시험이 있으며 제3회는 산업수요 맞춤형 및 특성화 고등학교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으로 실기 시험이 치뤄져요.(일반인은 연 1회, 2회, 4회 시험가능) 무선설비기사 시험은 보통 해당지역(사진첨부 참고)에서 치뤄지기 때문에 지리적인 조건을 잘 따져보고 시험 장소 선택하시면 될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