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학교 2학년 매번 엄지 손가락을 빠는데요.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보통 만 4세 정도까지는 손가락 빨기 증상을 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영아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통 만 4세 전후로 대부분 손가락 빨기를 중단한다고 합니다.이미 이 연령이 한참 지났기 때문에 손가락 빠는 아이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귀 기울일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기가 손가락을 빤다고 해서 100%욕구불만이나 애정결핍 문제로 결부짓긴 어렵습니다, 무료하거나 심심해서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 입이 심심하거나 배고파서 심리적으로 불안해서등 여러 요인이 있는데요 원인을 찬찬히 찾아보시고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행위 자체에 집착하기 보다는 빨지 않았을 때 칭찬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손가락을 빠는 데서 쾌감을 느끼는 대신 손가락 빨기를 의무로 만드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하루에 10분 정도 거울을 보고 혼자 손가락을 빨도록 지시해보세요. 의무로 변화하면 하기 꺼리는 상황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17개월 아기 변비인데 뭘 먹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변비는 아이가 많이 먹으면 밀어내는 힘이 생겨 변비가 잘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아직 먹는 양이 많지 않고 골고루 먹기가 힘들기 때문에 변기가 생기는데요. 우선은 아이가 너무 힘들어 하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약을 처방받으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평소에 섬유질이 풍부한 고구마, 바나나, 사과를 많이 먹게 해주시고 물도 자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세우는 자세를 계속 해도 상관없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예전 어르신들은 아이가 좋아한다고 많이들 하셨는데요100일 아기이면 아직 신체적인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무릎보다는 척추에 무리가 갈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 이 시기때는 등 근육을 발달하기 위해서는 엎드리는 자세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아이들은 스스로 일어설수 있을 때 일어서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들은 왜 방구 똥 이런걸 좋아하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막 언어는 배우는 아이들에게 똥이라는 단어는 아이가 경험하는 다양한 소리중 하나로 즐거워할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 똥 이야기를 하게 될때 나오는 다양한 소리와 모양이 아이들이 즐거워하게 되는 요인이 되는것 같습니다. 또 아이들에게는 똥에 대한 두려움 또한 공존합니다 왜냐면 내 몸안에서 뭔가 알 수 없는 것들이 나오게 되고 이것을 심지어 훈련해서 내가 조절해야 된다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스트렛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그런데 여러 컨텐츠를 통해 배변과 친숙해지고 여기에 대한 긴장도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좀 완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굉장히 좋아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티비를 너무 많이 보는 아이 어떻게 줄읾가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유아기때 미디어 시청은 득보다는 실이 많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권하지 않고 있습니다.뇌가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신체활동 등 여러가지 자극을 주어야 하는데요. 일방적으로 시각적인 자극만으로 이뤄지 티비 시청은 아이의 뇌발달과 신체 발달을 지연시키고 상호작용이 되니 않아 언어발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리고 보상지연이 되지 않아 아이들이 기다리는 것에 어려움이 느끼게 되는등 아주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될 수 있는대로 유아기때는 최대한 노출을 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화를 자주내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화가 나는 상황이 없으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적절하게 필요할 때 화내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무조건 적으로 화를 참거나 피하게 되면 오히려 소극적이고 주눅드는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화는 참거나 피해야할 나쁜 감정이 아니라 나에게 소중한 것을 지키려면 필요할 때 적절히 화도 낼 수 있도록 훈육해야 합니다.부정적인 감정의 긍정적기능도 있습니다 부정적감정을 경험하며 다루는 법을 익히게 되면 타인에게 끌려다니지 않는 자존감 높고 자립심 강함 아이가 됩니다. 화가 났을때 솔직하게 화가 났다고 이야기하고 화가 난다고 남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금 화난 이유에 대해서만 화를 낸다면 건강한 방법으로 화를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30개월 아이가 2음절만 얘기하는 경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눈 마주치고 상호작용하고 반응적절하다면 좀더 기다려보시는 것도 괜찮아요. 아이마다 말하는 시기가 천차만별이라 조금 늦다고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다려도 좋아지지 않는다면 언어치료도 받으로 가보세요. 요즘은 워낙 일반화 된거라 크게 생각안하셔도 됩니다, 특히 코로나 시대를 거치면서 아이들이 언어가 느려진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선생님이랑 1대1수업 하면서 언어자극 줘서 말 트이게 도와주시면 금방 좋아지더라구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기한테 애착인형을 만들어주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애착인형은 아이의 불안정한 정서를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존재, 양육자를 대신하는 것으로 특별히 아끼며 들고 다니는 인형, 쉽게 말해서 아이가 부모의 존재만큼이나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인형을 뜻합니다. 애착인형을 만들어주는 시기는 생후 6개월~36개월 사이가 적절합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애착인형 시키는 돌 전후인데요. 12개월 이전에는 인형이나 다른 사물을 통해 애착형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우선되어야 하기 떄문입니다. 만 3~4세가 되어서도 특정한 물건에 애착을 가지고 집착까지 가는 경우는 주 양육자, 보호자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애착물건이랑 함께하는 시간보다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더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집착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소거되기 때문에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애착물건에 대한 집착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갑자기 이를 심하게 갈기 시작하는데 개선방법이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잠을 잘때 이가는 습관은 3~12세 아동에 있어서 7~8%정도의 빈도를 나타나는데 유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로 이행되는 시기에 특히 증가하여 그 이후에 감소합니다. 원인으로는 교합이상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등이 생각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불명입니다. 다른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는 없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문제는 이를 갈 때의 교합력이 정상시에 2배정도 되므로 치아의 마모가 심해집니다.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하여 교정장치를 만들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체육관을 다니게 하면 아이에게 어떤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태권도는 본인의 체격조건에 상관없이 남자들 여자든 누구나 수련만 한다면 정신과 육체가 다 건강해 질 수 있는 운동입니다. 또한 어떤 면에서 볼때 체조와 매우 비슷하여 따라하는데 무리가 없고 가르치기도 쉽습니다. 그리고 태권도는 맨몸 무예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도구나 장소의 구애없이 수련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운동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부위의 근육까지 발달시기에 전신을 균형있게 운동 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신체를 단련하는 무술이기에 자신을 지키는 호신술의 기능이 있습니다.특히 어렸을때 하면서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도 배우고 절제하고 동양문화를 배울 수 있고 신체 활동을 통해 자존감이 향상되기 때문에 많이 추천하는 운동입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