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윤선도가 관동별곡.사미인곡의 걸작을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사미인곡은 송강 정철이 지은 한글 가사로 반대파 탄핵을 받아 창평으로 물러나며 지은 작품인데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을 남편과 이별하는 여인의 그리움으로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리고 관동별곡도 정철의 작품이며 노래의 형식을 띠고 있구요. 그런데 노래 형식을 띠는 시를 가사 문학이라고도 하고 조선 시대에 유행했던 민요 형식의 시입니다. 운율과 리듬이 있어 노래하기 좋은 구성입니다. 윤선도는 많은 한글 시조를 남겼으며, 오우가, 어부사시사가 대표적입니다.또 매화, 대나무, 국화, 난초를 주제로 한 4군자는 한국 전통 미술의 중요한 표현 요소 중 하나로, 어몽룡은 조선 중기의 문 특히 매화를 잘 그리는 화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Q. 유화는 어디에 그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유화 물감은 다양한 재료 위에 사용하여 그릴 수 있지만 주로 캔버스에 그리고, 이 외에도 종이, 나무판, 벽, 천 등에 그릴 수 있습니다.특히, 캔버스는 견고하고 표면이 매끄러워서 유화 그림을 그리기에 적합한데, 캔버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천 위에 유화를 그려 그림이나 패브릭으로 작품을 만들기도 합니다.큰 작품을 제작할 때는 주로 캔버스나 나무판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매끄러운 질감을 원하면 캔버스를, 거친 질감을 원하면 나무판이나 특수한 종이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참고로 캔버스는 그림 그릴 때 사용되는 천으로, 린넨이나 면 등의 튼튼한 섬유로 짜여 있습니다. 여기에 아교나 아마인유 등을 발라 내구성을 높이고, 그림 물감이 스며들지 않도록 합니다.
Q. 전통적인 민속화가 요즘들어 재평가받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전통의 민속화가 현대 예술에서 재평가 되고 있는 이유에는 먼저 문화적 가치의 재조명이라 할 수 있는데,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전통 가치는 중요하게 여겨지고, 또 현대적 해석으로 재탄생하기도 하는데요.이를 통해 과거와 현대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예술적 표현이 가능해집니다.그리고 민속화는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 현대 사회의 문제도 민속화를 통해 비판을 드러내거나 반영하고 있습니다.무엇보다 요즘 많은 갤러리나 박물관에서 전통 민속화를 주제로 전시를 개최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세대들에게 전통 미술을 알리면서 재평가되고 조명받는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