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재 우리나라 화학산업이 많이 심각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석유화학업계의 구조적 공급 과잉이 단기간 내 해결되기 힘들다는 시각이 아주 팽배합니다.중국 중심의 대규모 석유화학설비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돼 왔을 뿐 아니라 범용제품의 수익성이 낮은 가운데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친환경 규제는 오히려 더욱 강화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뿐만 아니라, 에틸렌, 프로필렌 등 대부분의 석유화학제품의 설비 가동률은 2027~28년까지 낮게 유지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있습니다.우리나라 석유화학 업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로 미국주가는 얼마나 떨어졌고 또 얼마만에 회복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닷컴버블의 붕괴는 증시 폭락과 수많은 기업들의 도산을 일으켰습니다. 이후 미국은 경제를 다시 살리기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추진하게 됩니다.낮은 이자 부담으로 사람들이 은행에서 더 많은 돈을 빌리게 되었고, 이들은 이 돈을 활용해 집을 샀습니다.주택 구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니 자연스럽게 부동산 가격도 급등하게 되죠.그런데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도 무리하게 돈을 빌려 집을 산 것이 화근인데요, 금리가 다시 올라가자 이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 다시 집을 판 것입니다.이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은 폭락하게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택 담보 대출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수많은 파생 금융상품들도 결국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죠.그 과정들을 겪으며 당시 세계 4대 투자은행 중 하나였던 리먼브라더스도 파산을 하게 되고, 글로벌 증시는 다시 한번 폭락의 도가니 속으로 빠집니다.리먼브라더스 파산 과정 속에서 시작된 본격적인 미국 증시 조정은 무려 전고점 대비 56%나 하락했습니다.심지어 이는 대략 1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단기간에 이루어졌죠. 하지만 다시 전고점을 되찾기까지는 무려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