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9월 2일 작성 됨
Q.
검은색 벌 같이 생긴 이 벌레 무슨 벌레인지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잡으신 벌레는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해당하는 벌레로 이름은 "아메리카동애등에" 입니다.몸 길이는 12 ~20mm정도 이며, 한국으로 넘어온 곤충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기계공학
2023년 8월 31일 작성 됨
Q.
날아가는 자동차가 다니는 것이 일상화되려면 언제쯤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히 언제다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먼저 AI 산업이 발전하고 초전도체가 상온에서 사용할 수 있을정도로 개발하게 된다면 엄청난 속도로 날라다니는 자동차를 개인이 운전하지 않고 자율주행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8월 31일 작성 됨
Q.
사람도 얼었다 녹으면 다시 살아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 사람을 얼렸을 때 혈액이 문제인데요. 그래서 발전된 방법이 사람이 죽자마자 빠르게 혈액을 제거하고 혈액대신 특수용액을 집어넣은 다음 급냉으로 얼리는걸 해외에서 하고 있는데요. 아직까지 해동해서 용액을 빼내고 혈액을 투여하진 않았습니다만 이런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화학
2023년 8월 31일 작성 됨
Q.
일본방사능오염수방류가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오염수 방류할 수 있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방류할 수 있는건데요. 이 방사능 수치가 다른 나라대비 낮긴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우리바다와 가까운 점입니다. 시뮬레이션 상으로는 우리나라까지 도달하기로는 4~5년 걸린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앞으로 도달 시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일본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31일 작성 됨
Q.
날씨가 덥고 습하면 종이가 더 흐물거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가 흐물거리게 되는건 습한날씨 때문일텐데요.아무래도 습기가 높다보니 종이가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머금으면서 빳빳했던 종이가 천천히 물기로 인해 흐물거리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8월 31일 작성 됨
Q.
흰머리 나는 것도 유전적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물론 유전학적인 요인도 크게 작용하겠지만 후천적으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이유가 있는데요. 스트레스, 안좋은 식습관 또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새치에서 나아가흰머리가 나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8월 30일 작성 됨
Q.
전기줄에 앉아있는 참새는 왜 감전이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가 흐리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있어야하는데요. 이 전위차가 0일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참새와 전기줄 사이의 전위차는 0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새와 전기줄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줄보다 참새의 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참새로 전류가 흐리지 않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8월 30일 작성 됨
Q.
외계 지능 생명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상황에 대해 외계인은 설명을 하기위해 자신들의 언어를 쓸텐데요. 그 상황에 어떤 단어가 나온다는 것을 유추하고 그렇게 쌓이다보면 다 맞출 순 없지만 이런 식으로 천천히 분석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나중에 AI가 발달하면 AI를 통해 행동, 감정, 등 분석을 통해 역추적을 할 것 같습니다.
화학
2023년 8월 30일 작성 됨
Q.
전기자동차의 환경문제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폐배터리에 대해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폐배터리 재활용에 관해서 이미 많은 발전이 있는데요.예를 들어 전기차에서 나온 폐배터리는 이전 효율대비 떨어지긴하지만 못쓰는 배터리가 아니기 때문에전기차의 배터리를 재활용해서 ESS로 활용한다던지 용도에 맞춰 배터리를 이용하여 재활용을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8월 30일 작성 됨
Q.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는 어떻게해서 인가보다 더 긴 수명을 살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생물들은 텔로미어를 가지고 있는데요. 텔로미어는 수명과 비례하여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집니다.보통 인간보다 텔로미어가 짧으면 인간보다 짧게 사는데요. 거북이는 인간에 비해 텔로미어 길기 때문에 오래 사는데요.거북이는 텔로미어만 긴게 아니라 복구까지 하기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는 것입니다.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