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리는 과학이라는 말은 근거있는 말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일리가 있는 말인데요.요리에 재료들 중에 입자가 서로 다른데 입자 크기에 맞춰요리 순서를 어떻게 할지에 따라 맛이 확연히 차이가 나게 되겠습니다.특히 이 부분은 양념에 가장 큰 요소이기에 중요한데요.그래서 요리에 순서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오늘이 가장 시원한 여름이라는 말들이 많이 나오는데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가 녹고 있는 속도가 시간이 갈수록 심각해지는데요.빙하가 녹으면서 지구의 온도는 계속해서 상승 중에 있습니다.어떤 연구학자들은 과거 지구의 온도를 보았을 때 그렇게 높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여기서 중요한 점은 지금의 온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빠른 시간만큼 기온이 올라가고 있느냐인데여기서 현재 말씀하신대로 문제가 심각한 상태입니다.그렇기 때문에 내연기관차를 2030년에 생산 전면 금지, 빙하를 녹게 하지 않기 위해 빙하를 덮어 보존,친환경 자재 도입, 등 여러 방면으로 전세계에서 고민 중에 있습니다.지금은 개인이 할 수 있는 최소한이라도 환경을 위한 실천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일회용품 줄이기부터 실천하는 건 어떨까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탐사)선에서 연구원들의 배변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선 내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볼 경우 흡인하는 관이 있어서 그대로 흡입해서 우주로 배출되게 됩니다.만약 우주복을 입고 탐사 중에 볼 일을 봐야할 경우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어서 그대로 처리하거나 오줌수거장치를 통해 처리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소금을 다른방법으로 만들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은 바닷물을 통해 얻는 것 말고는 어렵습니다.특정 물질과 똑같은건 얻기 쉽지 않은데요. 마치 금이나 은을 인공으로 대량 생산을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본에서 해양 방류한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나라에 도착하는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약 4~5년으로 알고 있는데요.이는 시뮬레이션이므로 더 느리게 올지 빠르게 올지는 일본이 어느정도의 시간으로 지속적인 방류가 이어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지구에서 달에 도착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인류 최초로 아폴로11호를 타고 지구에서 달까지 편도로 걸린 시간 약 4일정도입니다. 우주선에 따라서 혹은 지구에서 달까지 가는 전이 방식에 따라 도착시간이 다르게되겠습니다. 전이는 크게 4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직접전이, 위상전이, 나선, 달 궤도 전이 방식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방사능 오염수가 무해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능 오염수가 바닷물에 얼마만큼을 방류했는냐에 따라 다른데요. 바다 자체에 방사능 수치도 있고 우리가 먹는 음식 조차도 미세하지만 방사능 수치가 있습니다.현재까지 이 오염수들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다에 방류인데요. 애초에 오염수라고 해서 바다로 마구잡이로 방류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방류 조건에 해당하므로 방류하는건데요. 이미 많은 나라들이 바다로 방류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무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계란이 빛의 속도로 바위를 박는다면 바위가 부서질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을 가진 물질은 빛의 속도로 가속할 수 없으므로 바위를 부실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빛의 속도에 근접할 수록 계란은 질량이 증가해야하는데 계란은 약 60g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지구과학을 배워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과학을 통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이유를 알게 되는데요. 지각 변동은 어떻게 일어났는지, 비는 어떤 원리에서 내리는지, 지구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등에 간단한 이론들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이 실제로 존재하긴 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석을 통해 공룡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공룡의 모습이 우리가 아는 모습일지는 학자들이 계속해서 연구 중에 있으며 그 모습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의 예로는 영화 속 공룡들의 모습만 봐도 알 수 있는데요.말씀하신 아파토사우르스의 모습도 변하고 있습니다만 화석을 통해 몸의 구조를 보고 구조를 통해 육식을 했는지 초식을 했는지와 실제 모습을 추정하기 때문에 무게는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212222232242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