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구리 중에도 독이 있는 개구리가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개구리 중에는 독이 있는 개구리들이 있습니다. 독개구리, 독화살개구리, 무당개구리,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무당개구리도 있겠지만 남아메리카의 정글에서 서식하는 맹독성 개구리들은 155종이 넘을만큼 상당히 개체수가 많은데요. 이러한 개구리들은 체내에 생성하기 보다는 먹이를 통해 독을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개구리들은 굉장히 화려한게 특징이며, 보통 붉은기를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Q. 배터리는 어려운것도 아닌데 왜 발전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배터리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절대 쉽지 않은 제품입니다. 배터리는 보통 사양별로 정해져있고 규격화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원통형인지 파우치형인지 혹은 각형인지에 따라 달라지고 내부 성분에 따라 NMC, LFP,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그 안에 성분의 비율에 따라 또 달라지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일찍 2차 배터리 투자와 기술 발전을 통해 하이니켈 성분으로 효율성을 높힘과 안정성을 갖고 지금까지도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발열 또는 스웰링 현상으로 부푸는 이유는 여러가지 있겠지만 보통 배터리 셀에 문제가 아닌 배터리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사용환경이 와일드하거나 과충전, 과방전으로 인한 셀 데미지 축적, 등 사용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라고해서 다른 사양은 아니며, 오히려 safety system이 많이 접목되어 있어 시스템적으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배터리팩에 들어있는 셀 간 효율을 올리기 위해 열을 효율적으로 빼주면서 각 셀 벨런싱을 어떻게 잡아줄지, 등 여러가지 고려하여 설계되고 발전하고 있다는 점 알아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