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젤리는 어떤 화학적 성분의 결합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젤리는 말랑말랑한 특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물질을 분류할 때는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누게 됩니다. 이 때 젤리는 3가지 중 하나로 분류하기가 난감한데요. 젤리는 고체도 액체도 아닌 바로 겔 또는 콜로이드 상태라고 부릅니다. 겔은 고체의 형태를 가졌지만 일반적인 단단함의 고체는 아닌 물질들을 말합니다.그렇다면 젤리는 어떻게 만드는지 말씀드리자면 주 재료는 바로 젤라틴입니다. 젤라틴은 열을 가하게 되면 액체 형태로 녹게 되고 식게 되면 다시 굳게 되는데요. 식으면서 교차결합으로 인해 3차원 그물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말랑말랑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2023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사람이 가만히 있는데 벌이 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가만히 있을 경우에는 벌이 공격하지 않습니다. 꿀벌의 경우에는 봉침을 찌르게 되면 내장까지 딸려나오면서 죽게 되는데요. 이렇게까지 공격하는 경우는 충분한 위협을 느꼈을 때 공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움직임 또는 공격성을 띄지 않으신다면 쏘이지 않겠습니다.
2023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사람의 머리카락은 평생 무한정으로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머리카락은 수명이 존재합니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머리카락 개수는 10만 개정도 되는데요.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루에 0.3 ~ 0.5mm 정도 머리카락이 자라며, 하루에 약 50개정도 머리카락이 빠지게 됩니다. 이렇게 꾸준히 자라고 몇몇 가닥들은 빠지면서 성장을 거듭하다가 약 5~7년 정도 자라나게 되면 그 이후로는 휴지기를 가지면서 더 이상 자라지 않게 됩니다.
2023년 10월 10일 작성 됨
Q.
설탕을 가열했다가 식을때 딱딱해지는 건 어떤 과학적 원리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설탕을 물과 함께 끓이게 되면 융해되면서 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데요. 이때 물이 증발하게 되면 설탕 농도가 높아지고 설탕 결정끼리 결합하게 됩니다. 결합된 설탕은 고체처럼 굳게 되는 것이지요.설탕 자체를 알면 더 쉬운데요. 설탕은 당밀을 코팅한 형태로 당밀 자체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가루 상태로 유지가 됩니다. 하지만 당밀 속 수분이 증발하게 되면 설탕 결정끼리 붙게 되면서 덩어리지게 되는데 이를 딱딱해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23년 10월 9일 작성 됨
Q.
러닝할때 왜 입으로 숨쉬는 것 보다 코로 숨쉬는게 더 좋은지?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러닝을 할 때 초반에 입으로 숨쉬는 것보다 코로 최대한 숨쉬는 것이 좋은데요. 말씀하신대로 입으로 들이마시는 게 훨씬 공기를 많이 들이마실 수 있지만 입으로 계속 들이마시다보면 쉽게 기관지가 건조해지면서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최대한 코로 숨쉬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 숨쉬는 것이 불편하다보니 천천히 연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76
377
378
379
3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