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형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4월 3일 작성 됨
Q.
아이 어린이집에서 다른아이가 손톱으로 저희아기 얼굴 긁었는데, 이럴때 어떻게 대처하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과민하게 대응하기도 그렇고 가만히 있기에도 참 난감한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감정싸움으로 번질 수 있기에 어린이집 선생님과 먼저 이야길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은 아이들끼리 놀다가 실수로 생긴 상처일 확률이 높습니다.
놀이
2023년 4월 3일 작성 됨
Q.
미술교육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미술교육은 보통 아동의 정서발달과 창의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는 합니다. 특히 만들기와 그림그리기는 창의력 발달에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이 계속 말대답을 하고 말꼬리를 잡는데 어떻게 고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말꼬리를 잡을 때는 차라리 훈육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해당 상황에서 훈육을 해줌으로써 아이가 해당 행동을 하면 안되는것임을 인지하도록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21개월 아기가 자꾸 제 무릎에 이상하리만치 집착을 합니다ㅜ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는 각기 다른 곳에 집착을 보이고는합니다. 애착을 형성하는것이죠 어떤아이는 부모님의 머리카락에 집착을 보여 머리카락을 만져야만 잠이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릎에 애착이 형성된것인데요 크게 개의치 않아도되는 상황이기는 하나 질문자님이 피로감을 느끼면 다른 인형 등으로 애착의 대상을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중학교 1학년 남자 아이가 말이 적어지면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춘기 아이와 대화하기는 항상어렵습니다. 부모의 의견이 어긋나면 소리지르고, 이유 모를 반항까지 하니깐요.1.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세요2. 적극적으로 공감해주세요.3. 비교하지 말아주세요4. 야단은 짧게 끝내주세요그리고 아이를 많이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놀이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돈의 개념에 대해 언제쯤 알려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마다 경제교육을 시켜주는 시기가 다르지만 보통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용돈을 주면서 부터 경제교육을 시도하고는 합니다. 용돈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하고 용돈기입장을 쓰며 아이가 경제관념을 스스로 깨닫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질문자님께서 작성하신바와 같이 직접 계산을 하면서 아이는 경제관념을 키울 수 있을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아동 간 폭행 신고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가해 아동이 어린경우 소년보호처분도 불가능하므로 처벌할 방법은 전혀 없습니다. 그외로 부모나 학교등을 상대로 고소를 할 수 있을것으로 보여집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아이들 경제교육은 언제쯤 시작하는게 최선일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마다 경제교육을 시켜주는 시기가 다르지만 보통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용돈을 주면서 부터 경제교육을 시도하고는 합니다. 용돈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하고 용돈기입장을 쓰며 아이가 경제관념을 스스로 깨닫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큰애를 따라하는 둘째의 행동이 걱정이네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둘째는 첫째를 모델링 하면서 성장하고는 합니다. 그러면서 질투를 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욕구불만이 아닌 연년생 자녀에게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모습으로 장난감을 구매할때 같은것을 구매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9일 작성 됨
Q.
3살 조카가 밥을 잘 안 먹으려하는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의사표현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나이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왜 먹지않으려고 하는지 물어봐 주시는게 가장 빠릅니다. 아마 환경이 바뀜에 따라 아이가 음식을 일시적으로 거부하는것 같긴 한데, 아이에게 물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