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형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성조숙증이 의심된다는데 검사를 꼭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키가 작지 않는것에서 성조숙증을 의심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성조숙증은 아이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소이기에 검사를 받아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기저귀에서 자연스럽게 팬티 착용으로 넘어가는 좋은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기저귀를 먼저 완전하게 떼주시기 바랍니다. 기저귀를 떼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는 것은 완전히 기저귀를 때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겪는 과정입니다. 자녀가 잠들기 전에 음료 섭취를 하지 못하도록 해 야합니다. 또 새벽에 시간을 정해놓고 한동안 아이가 소변을 보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것도 좋습니다. 부모님께서 힘드시더라도 조금 인내 하셔야겠습니다 ^^;; 몇번 하다보면 아이가 스스로 적응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초3첫째가 초2동생을 몰래 괴롭힙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아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모습입니다. 첫째와 둘째의 서열 정리가 완전하게 되지 않았기에 그런모습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사실 시간이 지나면 해결된 문제로 부모님이 직접적으로 개입을 하기 보다는 방관하는 입장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첫째에게는 따로 넌지시 이야기 해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공부는 어떻게 시키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효율만 놓고보자면 학원을 보내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공부의 주체가 아이이기 때문에 아이와 상의를 하시고 결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8개월 아기가 어제부터 대변을 너무 자주싸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하루만 대변을 4번 본 상황이면 단순한 장트러블로 볼 수 있기에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하지만 여러차례 아이가 대변을 그렇게 본다면 아이가 먹고 있는 분유나 이유식을 점검해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4세(44개월)아이 자기 의사표현을 잘안하는데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말귀가 통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와 이야길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이가 자기 표현을 안하는데는 분명히 이유가 있을텐데요, 아이에게 넌지시 물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가렵다고 자꾸 긁는 아이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토피 까지는 아니지만 피부가 건조한 아이인것으로 보여집니다. 보통 환절기에 그런모습을 보이고는 하는데요, 보습과 습도에 신경을 써주시고 증상이 심한경우 병원에 내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만8개월 아기를 키우는데요 원레래 이맘때쯤 자꾸 안기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애착이 형성된 부모님에게 안기는 아이의 모습은 당연한것인데요, 아이의 요청에 반응을 해주시는게 아이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중요합니다. 아이의 컨디션이 괜찮다면 일단은 안아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7세 남자 아이인데 울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눈물이 많은 아이는 보통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어서 그런 모습을 보이고는 합니다.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활동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생활 전반에서 아이의 주도성을 키워주세요. 다양한 것을 스스로 해보고 직접 해보게 해주세요 예를들어 입고 싶은옷 고르기, 빨래널기, 식탁차리기 등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직접하게 해주시고 많은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아기 성장 과정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마다 개인차가 있어서 콕찝어서 말하기는 애매하지만 돌 정도 부터 ~16개월 사이에 많이 걷습니다. 그리고 언어도 돌 정도에 엄마, 아빠의 간단한 단어를 이야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