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형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아이와 뭐하고 놀아주는게 정서발달에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책읽기, 음악득기, 보드게임, 레고, 미술활동이 모두 아이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입니다. 해당 활동중에 아이와 이야길 해보시고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하시는게 아이의 정서에 가장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형제가 많으면 다복하다는게 모두에게 적용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다복하다는것은 옛날의 이야기이고 요즘에는 다사다난하다고 하고는 합니다.;;; 나이차가 어렸을때 다툼이 있는것은 서열정리가 완전히 되있지 않아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모습입니다. 일단은 두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첫째를 자꾸 약올리고 이기려고 하는 둘째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아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모습입니다. 첫째와 둘째의 서열 정리가 완전하게 되지 않았기에 그런모습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사실 시강니 지나면 해결된 문제로 부모님이 직접적으로 개입을 하기 보다는 방관하는 입장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두돌 지났는데 분유를 계속 먹어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두돌이 지났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분유 자체는 36개월까지는 섭취를 해도 됩니다. 보통은 12개월 정도가 지나면 분유끊기를 시도하고는 합니다. 분유는 우유로 바꾸는 연습을 해주시고 이유식을 조금씩 여러번 먹일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7일 작성 됨
Q.
저출산이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효과적인 저출산 방지대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저출산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이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세상이 흉흉하다는데 기인합니다. 그렇기에 그런 요인들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부에서도 포괄적으로 대응책을 만들고자 노력하는데 아직은 쉽지 않은게 현실입니다. 근본적으로 아이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비용 자체를 정부에서 부담 할 수 있도록 하는게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소아 자폐증의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의사소통, 놀이, 사회적 반응의 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자폐는 발달 전반에 걸친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달 전체를 촉진할 수 있도록해야 합니다. 또 개별화된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사두, 단두 교정 헬맷 부작용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헬멧교정의 경우 정기검진을 통해 아이의 머리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를 합니다. 하여 머리가 안커진다는가의 부작용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어떤 아이들을 보면 생각이 어른 스럽드라고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른스럽다는 기준이 모호한데요, 아이가 배려심을 가지고 예의를 체득할 수 있도록 평소 부모님이 행동을 예의바르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부모의 행동과 생각을 체득할것입니다.
놀이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촉감놀이에 탁월한 것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주로 많이하는 아이 촉감놀이는 물감, 밀가루, 미역, 두부, 콩 등이 있습니다. 탁월한것보다는 아이가 일상 생활 물건을 많이 접하도록 해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3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새학기에 원을 안가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마 심적으로 문제에 대한 대답을 가지고 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정든 부모의 품을 떠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것 자체가 아이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큰도전이요, 시험입니다. 1시간후 귀가하는 시간을 주마다 20분 단위로 늘려주는 방식으로 하다보면 아이는 금세 어린이집에 적응해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잘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조금은 더 기다려주세요~!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