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아이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검사를 어느 주기로 받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알러지 피 검사 주기는 1년에 한번 정도 합니다 소아과 알레르기 피검사는 아이에게는 엄청난 공포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어린이 집에 보내기에 적당한 연령대가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는 시기는 각 가정의 환경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너무 일찍 보내도 감기에 자주 걸리므로, 어느 정도 아이가 면역력도 생기면 보내십시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아기가 마지막 분유 먹을때 먹다가 잠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가가 8시 정도에 항상 잠이 든다면, 그 전에 분유를 먹이고 재우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자다가 분유를 먹게 되면, 언급한 내용대로, 사레가 들거나, 역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수족구 증상으로 귀에놨는데 아이가힘들어하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수족구는 손과 발과 입에 기포가 주로 생깁니다 귀에 생기는 것은 아마도, 병원에 문의를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수족구의 원인은 장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와 생기는 질병이라고 합니다. 탈수가 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먹이기 바랍니다.되도록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줘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초등아이가 수시로 소변을 보는데 왜 이럴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소변을 너무 자주 보는 것도 습관일 수 있답니다. 또한, 아이가 소변을 볼 때 아픔을 느끼거나 뭔가가 불편하다면 소변을 나눠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또는 평소 아이가 스트레스가 있으면 자주 소변이 마려울 수 있다고 합니다. 병원에서 소변검사를 해보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유아 천식일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천식이 있다면, 방안을 살펴 보고 혹시 곰팡이 등이 있다면, 방안에 곰팡이 등은 반드시 제거를 해야 합니다.방안의 습도도 자주 체크해서 습도를 잘 유지해야 합니다.그리고 알레르기 주사는 성인에 비해서 소아에게 더 효과적이므로 병원에서 상담을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수에 대한 개념이 전무하다시피 한 아이는 어떻게 가르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숫자를 자연스럽게 아이가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로 가르치려고 하면, 아이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니, 엄마와 함께 장난감 갯수를 세어 보는 활동을 하거나, 게임을 등을 해서 숫자를 익히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9개월 아기 어린이집갔다오면 두드러기 나는이유가뭘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가가 9개월이면, 아직은 너무 어리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해서 외부 활동이 맞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당분간은 어린이집을 일단 쉬고, 가정에서 어느 정도 면역력이 올라오면 그 때 보내는 것도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분수의 개념을 너무 어려워하는 아이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수학은 어떻게 보면, 반복학습인 것 같습니다 옆에서 아무리 가르쳐줘도, 스스로 이해를 하지 못하면, 개념을 잡기 어려울 것입니다. 문제를 반복해서 풀다 보면, 스스로 개념을 익힐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9일 작성 됨
Q.
10살 먹은 남자아이가 가끔 자다가 오줌을 싸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아이들도 가끔은 이불에 실례를 하는 경우가 있답니다 언급한 내용대로, 아이의 실수를 나무라서는 안되면, 그럴 수 있다고 강한 반응은 하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541
542
543
544
5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