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편도염 빨리 낫는 방법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 아이들은 열이 올랐을 때 해열제 반응이 없으면 병원에서 진료를 봐야 합니다. 그리고 충분히 쉴 수 있게 해주어야 하며, 충분한 수면과, 물을 자주 마실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아이의 설사와 저체온증 의심돼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저체온증이 오는 경우는 해열제를 장기가 투약했을 경우,또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저체온증이 오기도 합니다. 대처 방법으로는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 등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모든 것들로 몸을 따뜻하게 감싸줘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아기가 요즘따라 트림을 잘 안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정시간이 지나면 트름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아이와 한참 같이 놀아주고, 크게 움직이게 되면 게워 낼 수 있으니, 작은 움직임으로 놀아주시면 소화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놀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문앞에서 유독 얼음이 되는아이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1개월이면, 아직은 집이 좋을 나이일 수 있어요. 아이가 체념을 하는 것 같습니다 어린이집 앞에 오면 엄마 아빠와 헤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받아 들이는 것이지요 아이의 이런 마음에 공감을 해주셔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4살 아이가 낮잠을 안자는데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잠 잘 시간이 되면 주변 환경을 조금은 어둡게 하십시요. 장난감으로 놀게 하기 보다는 책을 읽어 주거나, 음악을 듣게 하는 등 조용한 활동을 하므로써 낮잠을 유도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6살 아이가 목표의식을 갖길 바라는건 너무 이른걸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 아이들이 목표 의식을 갖고 생활한다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아요. 평소에 가정에서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목표를 함께 설정하고, 실현함으로써 성취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활동들을 준비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풀리지 않는 아이에 대한 체벌 문제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에게 훈육을 한다고 체벌을 하게 되면아이가 폭력적인 성향이 되기 쉽습니다.그리고 자신의 잘못을 전혀 모르게 될 수 있어요아이의 잘못이 반복될수록 체벌의 강도는 계속 강해질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딸 아이가 사춘기인지 대화가 부쪽 줄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춘기가 오면 아이들은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답니다. 보통 여자는 9~11세 정도에남자는 11~13세 정도에 사춘기가 시작되지요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유전적.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서 다양한 원인에 영향을 받는답니다. 또한 사춘기 자녀와 대화를 시작할 때는 자연스런 분위기와 주제로 접근해야 합니다.부모 입장에서 자녀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은 이야기나 정답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로 '우리 얘기 좀 하자' 라고 심각하게 접근하면, 사춘기 자녀들은 벌써 눈치를 채고 불편하고 꾸중을 들을 것 같다라는 마음이 느끼게 해서는 안됩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 잠자는 시간을 앞당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장기의 아이들은 일찍 자야 키도 커지고, 면역력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잠을 재우기 전에 목욕을 한 후 잠을 재워 보기 바랍니다 근육이 이완되서 쉽게 잠이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부적응 (오래걸린 적응시간)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분리 불안이 심하다면 당분간은 어린이집에 보내지 마시고, 집에서 케어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엄마와 안정된 애착 형성이 중요합니다 엄마가 자리를 잠시라도 비우게 되면, 아이에게 상황을 이야기를 해주셔야 합니다 엄마가 주방에서 물을 가져오게 기다리고 있을 수 있지? 라며 아이의 불안한 심리를 없애 주는 게 중요합니다
561
562
563
564
5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