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혼자 재우는 게 교육적으로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혼자 재워야 독립심이 생긴다는 외국의 이론을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전혀 맞지 않지만, 최근 들어서 분리 수면을 해야 한다는 부모들이 늘어 나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13일 작성 됨
Q.
돌아기 시판냉면육수 먹어도 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생 오이는 조심스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되도록 이 시기에는 익힌 음식을 먹어야 소화도 잘 되고, 감염도 되지 않을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과자를 너무 많이 먹으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과자는 성장 호르몬을 감소시켜서 아이들의 성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아이가 과자를 너무나 좋아하면 시중에 판매하는 과자 보다는 집에서 만든 쿠키를 먹여 보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의 학습을 위해 집에서 TV를 없애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요즈음엔 tv를 집에서 없애는 가정들이 늘고 있는 것 같아요. 예전과 달리 가족이 다같이 모여서 tv를 보기 보다는 개인 채널을 더 자주 보므로, 크게 tv존재는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아이들과 잘 상의해서 결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를 초등학교에 보내지 않을경우 처벌받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취학 연령이 됐는데도, 취학 의무를 하지 않는다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합니다.또한 학대 위험에 노출된 아이들이 장기 결석하는 부모에게는 강제할 규정이 없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21개월 아기가 밤잠을 심각할정도로 힘겹게 드는게 너무 짠합니다. 좋은 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를 잠을 재우기 전에 목욕을 시켜 보기 바랍니다목욕을 하고 난 후 마사지를 해주면 근육이 이완되서 쉽게 잠이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2돌 아이가 단어나 하고싶은 말을 할 때, 한 글자만 얘기하는데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한 글자만 말을 하면 아이에게 말을 더 붙여서 해주세요예를 들어 피아노를 가르키며 피 라고 했다면, 부모님께서는 '피아노' 치고 싶지? 라고 말을 덧붙여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책을 읽어 주시고, 아이에게 말을 자주 시키면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놀이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28개월 청각.예민한 아기에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성향 자체가 시끄러운 곳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많은 곳 보다는 일단 아이가 먼저 적응을 해야 하므로, 사람 많은 곳은 피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말을 자주 걸어 주세요. 아이가 혼자 놀면서 상호작용이 부족하므로, 말이 늦게 틔일 수 있으므로 엄마 아빠가 아이에게 말을 자주 걸어 주고 상호작용을 자주 해주셔야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몇 살때부터 한글을 가르치는게 적정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몇 살 정도 됐을까요? 아이가 한글에 관심을 보일 때 그 때 가르치시면 됩니다. 아이가 관심이 없는데,부모의 강요에 의해서 학습을 강요하면 아이에겐 큰 스트레스로 다가올 것입니다 아이가 한글에 관심이 생길 수 있도록 부모님이 자주 책을 읽어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12일 작성 됨
Q.
초등 고학년 여아 2학기 전학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전학은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면, 아이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부모님들께서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학교 생활에 대해서 늘 관심을 가져 주시고, 아이의 작은 행동에도 항상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601
602
603
604
6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