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순간적인 화를 참지 못하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예민한 성향의 아이들이 화를 많이 내는데 부모의 양육 방식도 점검을 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엄격한 분위기라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표출하지 못하고 계속 쌓아두고 있을 수 있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이유식을 시작한지 얼마안댔는데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각각 장.단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수제 이유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엄마의 정성이 들어간다는 점. 시판 이유식은 다양한 종류의 이유식을 맛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이유식 배달시켰는데요 전자렌지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전자렌지에서 바로 꺼냈을 땐 어른이 먹기에도 굉장히 뜨겁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식힌 후에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손 발톱 띁는 습관 고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손톱을 물어 뜯는 이유는 걱정이 있거나 불안해서 초조함을 느낄 때일 수 있습니다반복되다 보니 습관으로 굳어진 것 같아요손을 바쁘게 움직이는 놀이나 활동을 하게 해보세요종이접기, 스티커 붙이기, 그림 그리기, 등부모가 아이와 즐거운 활동을 할 때 아이는 자연스럽게 손톱 물어 뜯기를 멈출 것입니다.
놀이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28개월 유아 감기 콧물 흡입기 사용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콧물이 너무 자주 나오면 에어컨을 끄고 선풍기 바람으로 생활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차가운 물이나 음식은 안 먹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되도록 따뜻한 음식을 먹이기 바랍니다 콧물 흡입기도 자주 사용하기 보다는 며칠에 한번 정도 적당히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애기가 자꾸 울어서 계속 모유 먹이고 있는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갓 태어난 갓난 아기들은 스스로 체온 조절이 미숙하기 때문에 너무 덥거나, 너무 춥다고 느껴지면 울 수 있습니다.또는 피곤하거나, 불안해도 웁니다.기저귀가 젖어서 불편하거나, 배가 고파도 운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유아교사 입니다. 이해가 안되어서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선생님이 기저귀를 채우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 아기 엄마에게 잘 설명을 드렸는데도 불구하고, 화가 나있다면, 해결을 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대화가 전혀 통하지 않는 분이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5살여아 엄마 때리고 소리지르고 하는 버릇 고치는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폭력적인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아이의 넘치는 에너지를 분출할 만한 다른 대안을 찾아 주시기 바랍니다. 넓은 공터나 운동장에서 공을 던지며 놀게 하거나, 운동을 시켜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그리고 타인에 대한 양보, 배려, 친절, 인성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아이의 눈높이 맞춰서 좋은 부모가 되어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를 잘 키우는 현명한 방법은 육아엔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각 상황에 맞게 현실에 맞게 환경에 맞게 양육을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와 부모가 서로 존중하고, 명확하게 소통하고,아이의 의견을 항상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일 작성 됨
Q.
어린양을 많이 피우는 아이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2학년이면, 어린양이 줄어들 나이인데도 지금까지도 어린양을 한다는 것은 부모님이 너무 허용적인 양육 습관이 있는 건 아닌지 살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모든 요구 사항들을 들어줘서는 안됩니다 들어줄 수 없을 때 아이가, 어린양을 피우게 되도, 크게 반응을 하지 않는 게 중요하답니다
641
642
643
644
6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