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여름방학에 아이와 어떤것을 하면서 보낼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캠핑을 떠나 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이와 함께 집을 만들고, 부엌을 만들고, 요리를 하면 아이도 색다른 경험도 들고, 성취감과 자존감도 높아질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분리수면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섣부른 분리수면은 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증폭시키게 할 수 있으며 트라우마를 생길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아이가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아이가 혼자서 자고 싶어할 때 그 때 분리수면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아이랑 밤에 같이 자는 시기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직은 엄마와 자기를 원하고, 혼자 자는 게 무섭다고 하면 당분간은 같이 자야 하지 않을까요? 혼자 자면서 두려워 하고 무서워하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 악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8개월 아기가 가위에 베였는데 피가 자꾸 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발가락이 베여서 피가 계속 난다면, 소독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럼에도 피가 계속 나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병원에 데려가는 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아이가 낯을 많이 가리는데 나아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낯가림이 없는 아이들도 있고, 늦게까지 낯을 가리는 아가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성향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차츰 낯가림은 자연스럽게 없어질 것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있는 곳에 아이를 자주 데리고 나가는 것도 낯가림을 없애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아이가 남들과 어울리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어떻게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혼자 논다고 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혼자놀이 시간에 아이는 스스로 배우고 성장한답니다.친구들과 전혀 상호작용이 안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좀 더 지켜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친구들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해서 사회성이 없다고 걱정하는 부모님들이 많지만,사회성이란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사람들과 생활하는 데 큰 문제가 안 될 정도면 충분하답니다.아이의 기질을 존중 해줘야 합니다아이가 내향적인 성향인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자폐의 경우는 완치라는 개념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의 증상은 생후 3개월에서 4개월 무렵까지 엄마 아빠를 보고 웃지 않거나, 8개월 정도부터 낯가림이 없거나, 사회적 신호를인식하거나, 표현하는 데 문제가 생기면 자폐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어릴 때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를 했어도 성인이 되서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놀이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금쪽이 상담소에서 치료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금쪽이 상담소에서 치료하는 방법을 모든 사람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사람마다 성향도 다르고, 자라온 환경과 주변 모든 것들이 다른 데,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것만 적용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10개월 아기 스스로 뺨때리는 행동이 무엇을의미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은 아기가 말로 표현을 하지 못하므로 화가 나거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자신을 자해하는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이럴 땐 부모님이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시고 대신 말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돌 미만 아기의 비염, 중이염, 기관지염 등 원인은?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 영아들이 중이염에 자주 걸리는 이유는 목이나 코의 염증이 귀 안쪽으로 들어가서 이관 이라는 관쪽으로 이동해서 귀로 번지면서 중이염이생긴다고 합니다.
651
652
653
654
6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