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유아에게 분유를 먹이고 트름을 꼭 시켜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트름은 아이들 마다 소화 능력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일반적으로 15~20분 정도 트름을 시켜 주셔야 합니다 10분 이상 트름을 시키는데도 트름을 하지 않는다면 소화가 된 상태이므로 아이를 안고 있다가 눕혀 주시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무서움 많은 5세 아이...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서움증이 많은 아이들은 아이의 심리가 불안해서 그럴 수 있으니, 가족들의 따뜻함으로 아이의 불안한 심리를 없애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항상 스트레스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신경을 써주셔야 하며,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아이앞에서 조급해 하는 모습도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우리아이가 사시수술을 받는데 많이 아플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시수술을 한 후에는 회복 되는 시간은 보통 2,3개월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수술 후에도 교정이 덜 되거나, 재발이 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사항 등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할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아기에게 훈육을 해야하는 나이는 몇살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0살 아가들은 탐색하는 과정에서 뭐든지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서 엄마들은 하루종일 안돼! 하지 마! 그만! 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훈육의 내용이 첫 돌 이전에는 주로 위험에 대한 저지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12개월이 지난 이후부터는 점차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하나 둘씩 가르쳐 주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 훈육의 본격적인 시작이라 할 수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14개월 아기 힘을 너무 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파하면서 힘을 준다면 아마도 소화가 안된 상태일 것입니다. 하지만 습관적으로 힘을 준다면 부모님들은 거기에 반응을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는 재미없는 놀이 라는 것을 알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아기가 어릴때 자주 우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급하신 내용대로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자주 울기도 합니다. 부모님은 아이가 운다고 야단을 치기 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창의력을 키우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학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창의력을 길러주기 위해선,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아야 합니다.자기 주도적인 감각 체험을 많이 하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 스스로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는 것에 대해서 부모님은 칭찬을 해주시고 기뻐해 주셔야 합니다.그리고 아이에게 간섭을 최대한으로 줄여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돌아기 멸균우유 생우유 뭐가더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돌 정도부터는 생 우유를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두 돌 정도 되면 저지방 우유를 먹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답니다. 멸균 우유는 보관이 편리해서 가지고 다니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아이 영어교육을 어떻게 하는게 좋은건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어 교육을 자연스럽게 시키시려면, 엄마와 함께 그림이 많은 영어 책을 보거나, 영어 노래를 듣고 춤을 추는 등 자연스럽게 영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자녀가 어제 가출을 했다 들어왔는데,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안전을 위해선, 두번 다시 이런 행동은 하지 않게 혼을 내셔야 합니다. 잠시라도 외출을 할 일이 있으면 반드시 부모의 허락을 맡고 움직일 수 있도록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676
677
678
679
680
카카오톡
전화 상담